-
-
초강대국을 꿈꾸는 나라 중국 이야기 ㅣ 아이세움 배움터 39
신혜선 지음 / 미래엔아이세움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장난감 도시인듯 정말 예쁜 이곳은 상하이 와이탄의 밤 풍경이라고 합니다.
유럽의 건물을 보는 것 같기도 한데요.
한번쯤 이곳에 가서 내눈으로 직접 야경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사진입니다.
만화 속 한 장면이 떠오르는 이 곳은 중국의 전통 마을 풍경이라고 합니다.
마을을 이렇게 배를 타고?
사진 몇장으로도 궁금해지는 '중국'입니다.
중국하면 Made in china가 떠오릅니다.
짝퉁, 대륙의 실수.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다를 격하게 보여주는 곳?
예전에는 싸기만 한 제품으로 취급되었지만 지금은 아니죠.
어느새 중국어가 중학교 필수 교과가 되버렸습니다.
중국어가 대세, 유커를 잡기 위해 관광지들이 들썩들썩하니 중국이 대세는 대세입니다.
이런 중국.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초강대국을 꿈꾸는 중국이야기를 담은 책을 만났습니다.
"중국 면적은 약 960만 제곱킬로미터인데, 중국 지도를 그대로 유럽에 옮기면 무려 44여 개국을 덮을 수가 있어.
중국 인구는 13억이고 전 세계 인구가 70억이니까, 중국인이 전세계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거야.
도 중국 인구는 유럽 인구의 2.5배에 달해. 게다가 중국은 14개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이 정도면 중국 한 나라의 규모가 얼마나 큰지 알 만하지?" - 18page
전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나라.
수치적으로 알게 되는 중국은 어마어마합니다.
언젠가 중국어가 영어를 대신해 만국 공용어가 될 수도 있지않을까란 생각도 듭니다.
중국에는 뉴욕에 있는 '자유의 여신상'보다 8미터나 높은 석상이 허난 성 정저우 인근에 있습니다.
중국인의 조상을 기리는 마음을 담은 것으로 '염황이제' 석상이라고 합니다.
330억의 비용을 들여 20년에 걸쳐 완공한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석상으로 기록되고 있다고 하네요.
이 염제와 황제가 붉은악마의 상징인 치우천황과도 연관이 있다고 해요.
치우는 염제와 황제 연합군에 의해 패한 구려라는 강성한 부락의 수령이고
패했지만 용맹함을 높이 사 '전쟁의 신'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낙씨하면 생각나는 단어가 '강태공'입니다.
강태공은 낚시를 하면서 주나라 문왕을 만날 날을 기다렸다고 해요.
강태공은 실제로 낚시 바늘을 물속에 담가 놓지 않고 물 밖에 내놓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결국 그는 문왕의 부름을 받아 천하를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합니다.
'강태공'은 본인이 쓰일 때를 기다려 세월을 보내는 사람을 뜻하는데
요즘엔 진짜 낚시꾼을 말할 때도 많이 사용하죠.
우리가 은연 중에 쓰고 있는 것들이 중국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 새삼스럽습니다.
'중국'과 '중화민족'의 의미를 아시나요?
중국의 정식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입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과의 내전에서 승리한 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 때부터 세계사에서는 두개의 중국이 존재했다고 하네요.
중화인민공화국과 타이완 섬으로 퇴각한 국민당 '중화민국'.
얼마 전 트와이스의 멤버 쯔위, 중국에서 거센 비난을 받았었죠.
TV방송에서 타이완 국기를 흔들었기때문이었어요.
중국은 타이완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때문입니다.
중국에는 중국판 신분 제도라고 불리는 '호구제도'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중국이 도시 경제 발전을 위해서 농촌에서 무분별하게 도시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시한 정책인데요.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만 생활해야하고 벗어나기 위해서는 차별을 받는 제도 라고 합니다.
개혁과 개방으로 파란색 호구가 발급되기 시작했는데요.
조건을 만족하면 호구를 발급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베이징에서 대학을 졸업하더라도 베이징에서 안정적인 직업을 갖지 못하면 원래 호적이 있는 고향으로 내려가야한다니
생각해보면 정말 무서운 정책이네요.
예수보다 551년 먼저 태어난 공자, 소황제를 위한 뜨거운 교육열,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중국 현대 건축,
중국의 마윈키즈, 황허에서 비롯된 중화민족의 역사까지 중국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접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