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피
마에카와 유타카 지음, 이선희 옮김 / 창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예고편을 보고 읽어 보고 싶은 책이었습니다.

여주인공이 '지금 만나러 갑니다'의 '다케우치 유코'라서 더 눈길이 갔는데요.

결말이 궁금해서 책부터 읽어봤습니다.

  

표지는 완전 공포소설입니다.

귀신이 나올 것만 같은 표지인데요.

실제로 귀신은 등장하지않고 귀신보다 더 무서운 사람이 등장합니다.

어른이 되면 귀신보다 '사람'이 무섭다고 하던데 딱 그걸 느끼게 해주는 이야기였습니다.

​범죄심리학 교수 다카쿠라는 인적이 드문 한적한 주택가에 살고 있습니다.

고립된 느낌이 드는 곳이라서 이웃과의 소통도 사람들과의 교류도 별로 없는 곳입니다.

집에 누가 없어져도 가족구성원 하나쯤 다른 사람으로 바뀌어도 아무도 눈치채지 못할 그런 곳입니다.

 

어느 날 고교동창으로부터 연락이 옵니다. 노가미, 그는 미제사건을 맡게된 형사였는데요.

평소 연락을 하며 지낸 사이가 아닌지라 갑작스러운 연락과 방문이 당황스럽습니다.

단순하게 미제사건을 풀기 위해 조언을 얻으려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

노가미는 가족 연쇄실종 미제 사건과 관련된 인물이 다카쿠라의 이웃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품게하고 행방불명됩니다.

 

아내를 통해 옆집 남자가 평범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직감하게 되는 범죄심리학 교수 다카쿠라.

옆집엔 딸과 아들, 부부가 살고 있다고 들었는데 남편만 보이고 아내는 보이지 않습니다.

아들은 어느 순간 보이지않고 딸이 등교할 때마다 옆집 남자는 수상하게 자신의 딸을 응시합니다.

아내는 옆집 딸아이에게 접근해 질문을 합니다.

그런데 소녀는 "그 남자 우리 아빠 아니에요. 전혀 모르는 사람이에요"라는 말을 합니다.

우리 아빠가 아니라니? 무슨 뜻이지?

사춘기 소녀가 아빠를 부정하는 의미일까?

 

다카쿠라와 아내는 옆집이 점점 수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내는 어디에 있는지, 아들은 어디에 있는지, 딸은 왜 그런 소리를 했는지 등을 조사하려합니다.

 

그러 던 중 미제사건을 조사하던 노가미 형사는 앞집방화 사건 속 시체로 발견되고

늦은 밤 옆집 소녀는 공포에 질려 다카쿠라 부부의 집의 문을 두드립니다.

사건의 정황을 들으려는 찰나 옆집 남자가 딸아이를 내놓으라며 식칼을 들고 문을 두드리는데...

 

영화의 줄거리와 결과가 궁금해서 소설을 찾아봤는데요.

예고편에서 보여지는 줄거리와는 조금 다른 듯합니다.

옆집 남자가 주인공의 아내에게 접근하는데 반해서 소설에서는 그런 점은 없었습니다.

영화와 소설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집니다.

 

이 책에서 중요한 요소는 주인공은 잘 알지 못했던 고등학교 동창 노가미 형사의 가족사인데요.

그걸 영화예고편에서는 알 수 없었기에 영화를 봐야지 감독은 어떤 식으로 표현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세상에 이런 사람이 어디있겠나 싶다가도 충분히 있을 법한 이야기 같기도 합니다.

귀신보다 무서운 것은 '사람'이라는 것을 제대로 알게되는 이야기입니다.

귀신보다 사람을 더 무섭게 생각해야 하는 세상이라니... 참 씁쓸함이 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