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남겨두고 간 소녀
조조 모예스 지음, 송은주 옮김 / 살림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와 제목에 눈이 가는 책입니다. '당신이 남겨두고 간 소녀'는 화가가 그린 작품명이였어요.

이 그림에 어떤 사연이 있을지 궁금해지는데요. 이야기의 흐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그림입니다.

이왕이면 표지그림이 제목에서 연상되는 그림이 아닌 책 속 그 그림, 당신이 남겨두고 간 소녀의 그림이었다면 더 좋았겠단 생각도 들었습니다.


총 2부로 구성된 이야기로 1부에서는 제 1차 세계대전 중 프랑스의 작은 마을에서 일어난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2부에서는 그로부터 100년 후인 2006년의 런던에서 일어난 이야기입니다.

100년이라는 시간 차가 있지만 두 이야기는 모두 '당신이 남겨두고 간 소녀'라는 그림으로 연결되게 됩니다.

 

"뺏길 수 없어요. 내가 그를 추억할 수 있는 유일한 그림이니까."

 

제 1차 세계대전으로 프랑스의 작은 마을 생페론은 독일군에게 점령당했습니다.

전쟁 중이라 가족을 지키기위해 남편들은 전쟁터로 떠난 터. 남겨진 사람들은 노인과 아이, 여인들이었습니다.

총을 들고 있는 독일군에게 반항할 수 없었던 그들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요?

한끼를 배부르게 먹을 수 없는 처지였던 그들은 어떤 희망을 안고 아이를 키우고 남편이 돌아오길 기다렸을까요?

 

가족이 운영하는 호텔에 아이와 동생을 데리고 전쟁에 나간 남편을 기다리던 여인 소피가 있습니다.

그녀는 남편이 그린 그림을 벽에 붙여두고 희망을 품고 삽니다.

그 그림이 바로 당신이 남겨두고 간 소녀입니다.

남편은 화가였는데요. 결혼 전 그녀를 모델로 그린 것입니다.

그랬기에 그 그림엔 사랑하는 남자를 바라보는 여인의 눈이 담겨있었습니다.

젊고 당당하고 아름다운 여인, 사랑스러운 여인이 현재의 소피와는 다른 모습으로 담겨있습니다.

하지만 소피는 그 그리믈 보면서 남편을 떠올리며 힘든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습니다.

 

호텔에서 돼지를 키우고 있다는 이야기가 독일군에게 알려지고 호텔에 급작스럽게 군인들이 들이닥칩니다.

위급한 상황에서 소피는 새끼돼지를 아기로 둔갑시켜 위기를 모면하게 되는데요.

알고보니 독일군 사령관이 그 사실을 알면서도 넘어가 준것이었습니다.

이 사령관도 전쟁 중 아내와 헤어졌고 자신의 처지와 비슷한 소피에게 인간적인 공감대를 느꼈던 것 같습니다.

벽에 붙여놓은 그림을 보며 소피에게 남다른 마음을 품게 됩니다.

 

사령관은 소피와 그녀의 가족들에게 잘해주기 시작하는데요.

인간적으로 다가오는 사령관과는 급기야 춤을 추고 맙니다.

소피는 사령관과 사랑에 빠졌다기 보다 인간적인 따뜻함에 그리워 짧은 춤을 적이 아닌 인간과 췄을 뿐인데

좁은 마을에 이 일은 순식간에 퍼지게 됩니다.

그리고 적에게 몸을 파는 여인이라 손가락질 받게 됩니다.

속사정은 모르면서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만을 마을 사람들은 봅니다.

같이 살아야하고 보듬어야할 여인들에게 돌을 던집니다.

 

​그동안 연락이 없던 남편의 소식이 전해집니다.

남편은 살아남기 어렵다는 수용소에 갇혔다고 합니다.

소피는 남편을 살려야겠다는 생각만 하게 됩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고민하다 독일군 사령관에게 애원합니다.

자신의 모든 것을 줄테니 남편을 살려달라고요.

그리고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하고 맙니다.

그 선택이 과연 옳은 것인지 그른 것인지는 함부로 판단할 수 없겠죠.

 

사령관은 남편이 남겨준 그림을 원합니다. 아니 그 속에 담겨있는 매력적인 소녀를 원합니다.

그녀는 사령관이 원하는 것을 줄 수 있었을까요?

수용소의 남편은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요?

그 뒤 남편과 만난 뒤 사령관과의 거래가 밝혀진다해도 이들의 미래는 행복할 수 있을까요?

그 궁금증으로 제법 두꺼운 이야기를 계속 읽어가게 됩니다.

 

​100년 후. 런던의 한 미망인 리브의 집 벽에 걸려있는 '당신이 남겨두고 간 소녀'.

이 그림은 전쟁 중 개인적으로 소장했던 미술품이 도난당했다고 소송이 걸린 그림이었습니다.

안타깝게도 현재 이 그림을 소유하고 있던 사람도 미망인이었습니다.

 

남편이 결혼 선물로 그녀에게 사준 것이었는데요.

남편은 같은 침대에서 자고 있는 사이에 숨을 거뒀습니다.

분명 같이 잠자리에 들었는데 아침에 눈을 떠보니 남편은 더이상 눈을 뜨지 않았습니다.

만일 그녀가 잠이 들지않고 있었다면 남편을 살릴 수 있지 않았을지,

소리도 내지 못하고 잠든 그녀를 보고 고통스러워하지 않았을지

그녀는 남편과의 마지막에 힘들어합니다.

 

세월이 약이라고 했던가요. 리브에게도 새로운 사랑이 다가옵니다.

하지만 그가 리브의 집에 걸려있는 그림을 보게 되면서 그 사랑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1부에서 끝난 줄만 알았던 소피와 그녀의 남편, 독일군 사령관의 못다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책을 덮은 후 가장 인상적으로 남는 장면은 마을 사람들에게 손가락질 받으며 잡혀간 여인이 자살을 한 장면이었습니다.

더이상 고향으로 돌아갈 수도 사랑하는 아이곁으로도 돌아갈 수 없다고 생각하고 삶을 포기해버린 여인.

참 안타까웠는데요.  영화로 만들어져도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드는 이야기였습니다.

 

더이상 볼 수 없는 사랑하는 사람이 남겨준 그림, 그 존재는 무엇보다 소중한 것일텐데요.

남겨진 사람들에게는 살아갈 희망이 되는 것이겠죠.

하지만 이 이야기를 다 읽고나면 추억만 붙들고는 살지 말라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 같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