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애니메이터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 3
서지원.조선학 지음, 주순교 그림, 구본철 감수 / 동아출판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리텔링이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와... 아이들 학습해야하는 게 더 어려워진 것 같습니다.

물론 취지는 좋지만... 과학, 기술공학, 수학, 인문예술이 융합되어야한다는데!

이런거랑 전혀 상관없이 단순무식 암기위주의 학습을 받던 제가 아이들에게 학습적인 요소를 알려주기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에요. 사고방식부터 다르니 아이들에게 뭔가 알려주기 위해선 저부터 공부를 해야겠단 생각이 들어요.



과학(S), 시술공학(TE), 수학(M), 인문예술(A) 지식을 하나로!

화학을 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하려면? 역시 책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이제는 상상력, 창의성 모두를 기대하는 세상이네요.

참 어렵습니다.

어렵다고 또 나만 손놓고 있을 수는 없는 법.


그림을 아주 좋아하던 아빠가 애니메이터가 되가는 과정을 큰 줄거리로 담고 있습니다.

거기에 애니메이션의 가장 중요한 과학적 요소인 빛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아이들이 궁금해할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방법과 함께 애니메이션에 숨겨진 수학적 요소,

애니메이션 작품들에 대해서도 접하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애니메이션은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요?

처음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은 지금과 어떻게 다를까요?

아이들이 궁금해할 내용과 함께 과학적인 이론도 설명해줍니다.

글과 함께 그림으로도 설명해주고 있기에 과학 이론만 담은 책보다는 수월하게 볼 수 있는 책입니다.



특히 아이들은 애니메이션의 기법들을 보면서 신기해합니다.

눈의 착시현상은 정말 신기하죠.

요즘 놀이책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증강현실부터 생생한 입체감을 만드는 기술까지

애니메이션의 신기한 기법들을 보며 흥미로워합니다.



책 중간 부분에 노트에 조금씩 다른 그림을 그려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만드는 기법을 보고

그림그리기에 또 열을 올리기 시작하네요.



단순하게 졸라맨 팔다리만 다르게 해서 책을 넘기면 움직이는 것처럼 하는 것을 만들어보라고 하니

그건 별로 마음에 안든다면서 곰의 하루라는 제목을 쓰고 이야기가 있는 그림을 만들어가네요.

아이들의 상상과 표현은 무궁무진한 것 같습니다.

책을 보고 단순한 걸 제시해주면 아이 스스로 하고 싶은 걸 찾아내는 것 같아요.



애니메이터에 관련된 책을 보니 요 며칠 계속 그림그리기에 빠져있네요.

역시 책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참 큰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