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 - 평범한 인생을 송두리째 뒤바꾼 50편의 비밀스러운 이야기
에덤 고프닉.조지 도스 그린.캐서린 번스 엮음, 박종근 옮김 / 북폴리오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모스 50편의 비밀스러운 이야기


"현실은 소설보다 훨씬 더 기이하고 더욱 강렬하다!"


나이가 한살, 두살 늘어가면서 언제부턴가 판타지를 멀리하게 되었습니다. 왠지 나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세상이라는 생각과 함께 그래서 뭐. 지금의 나는 그대로인걸이라는 한탄이 반복되다보니 내가 언젠가는 체험해 볼 수 있을거라는 막연한 희망이라도 갖게되는 현실의 이야기에 눈을 돌리게 됩니다. 그만큼 마음의 여유가 없이 빡빡하게 살아가고 있단 뜻이기도 하겠죠. 그래서 이 문구가 더 강렬하게 눈에 들어왔습니다. 현실은 소설보다 훨씬 더 기이하고 더욱 강렬하다! 띵하고 머리를 치게되는 문구였습니다. 요즘엔 소설보다 정말 더 기이한 일들이 많이 생기는데 내가 너무 내 틀에 갇혀서 마음의 문을 닫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유연하지 못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닌지를 돌아보게 됩니다.





"모스의 수많은 이야기들은 고백이라는 마술을 사용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하고 싶어한다. 틀림없는 사실이다. 우리 시대의 교회와 성당은 둘어주는 의무를 이미 오래전에 저버렸지만, 사람은 남들에게 자신의 사연과 심정을 털어놓고 싶을 때가 있다. 모스는 바로 그런 욕구를 채워준다. 모스에서 듣는 최고의 이야기들은 자기 고백이나 사과와 같은 진솔한 이야기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 6page


베스트셀러작가, 노벨상 수상자등 15,000명이 출연하는 스토리텔링 콘서트 모스 (The Moth). 그곳에서 들려주는 평범한 일생을 송두리째 뒤바꾼 50편의 비밀스러운 이야기가 궁금해집니다. 유명인뿐아니라 자신만의 특별한 이야기가 있다면 누구나 열려있는 대회라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모스는 스토리텔링의 예술성과 기법을 탐구하는 비영리단체로 소설가 조지 도스그린에 의해 1997년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모르는 요즘, 내 이야기를 들어주고 공감해주는 걸 필요로하는 사람들이 많기에 모스가 유명해진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작은 동네에서 두런두런 모여앉아서 집안 일이며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을 떠올립니다. 그게 사람사는 정이겠죠. 먹고 사느라 시간에 쫓기며 조심조심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겐 사람사는 정이 필요해진 것 같습니다. 판타지처럼 어마어마하고 충격적인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진실한 이야기는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는 뭔가가 있는 듯합니다.


왜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하는가를 격하게 느끼게 하는 이야기는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었습니다. 살인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선고를 받고 18년간을 억울하게 사형수로 살아야했던 사람의 이야기. "누군가가 지켜보고 있다는 걸 그들이 깨달았기 때문입니다."라는 문구가 인상적이었는데요. 억울한 상황이거나 위로가 필요하거나 위험에 쳐했을때도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걸 알고 있다면, 나쁜 일을 하려는 사름은 감히 함부로 행동할 수 없고 누군가가 나를 지켜본다는 사실 하나로 위안을 받고 희망을 갖을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다른 사람에게 온정을 갖고 따뜻한 눈으로 지켜보고 귀를 기울여야하는 것이 왜 필요한지를 생각하게 하는 이야기였어요. '모스'가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남들에게 꺼내놓기 힘든 이야기에서부터 정말 소소해보이는 이야기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엄마가 다른 남자의 아기를 갖은 것을 알게 되고, 결국 부모님이 이혼하지만 사랑스러운 아기를 보며 미워할 수는 없었다는 이야기, 아이와 비밀번호를 공유하며 그들만의 공감대가 있다는 것을 깨달은 이야기, '바비 인형의 집'에서는 눈물이 울컥 나오기도 했는데요. 어린 시절 엄마와 친구와 같이 한 외출에서 교통사고가 납니다. 다행히 엄마와 나는 무사했지만 친구는 영영 눈을 뜨지 못했습니다. 어린 나이였을 때는 제대로 모르고 있던 친구의 죽음이 시간이 오래 지난 후에 급작스럽게 다가왔을 때의 그 슬픔에 관해 느끼게 했습니다. 심장을 관통하다라는 말이 바로 여기에 쓰이는 말인가봅니다.


누군가는 이 책을 읽으며 희망을, 또 누군가는 사랑을 위안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처음부터 쭉 읽을 필요없이 짬이나는대로 부담없이 아무페이지나 손이 가는 곳을 펼쳐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는 것만으로도,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이야기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