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ㅣ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미움받을 용기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살아간다는 게 가능할까? 그렇기에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 제목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이 책은 심리학의 3대 거장 중 한명인 알프레드 아들러의 철학이론을 철학자와 청년의 대화를 통해 들려준다. 알프레드 아들러는 지그무트 프로이트, 칼 구스타프 융만큼 잘 알려지지 않은 철학자지만 네일 카네기, 스티븐 코비등 자기계발의 멘토라고 불리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어 '자기계발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사람이라고 한다. 철학자와 청년의 대화형식으로 이루어진 책이다. 지극히 상식적이라 생각하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청년에게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가치관을 심어줄 철학적 이론으로 이 둘은 대화를 나눈다.
너무도 당연하게 생각했던 가치관이 부정되는 순간 청년은 분노를 표출하기도 하고 시대에 뒤떨어진 강연을 듣는 자신이 싫어진다며 철학자를 향해 허무주의자처럼 말을 한다면서 비난도 서슴지 않는다. 아마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아들러의 철학이론을 마주한다면 첫인상은 청년과 별반 다르지 않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아들러의 철학, 진짜 내 인생을 살게 하는 '용기의 심리학'은 트라우마, 열등감, 인간관계를 바라보던 시선을 완전히 달리보게 만든다. 너무도 생소한 시선이기에 처음엔 청년의 행동처럼 이게 말이 되는 이야기야?라는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왜 당신은 변하지 않는가? 왜 당신은 열등감을 극복하지 못하는가? 왜 당신은 타인의 인생을 사는가? 왜 당신은 지금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가? 이런 질문을 받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꺼낼 것이고 현재느끼는 감정들, 열등감에 대한 것들을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너무도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을 한순간에 무너지게 만드는 이야기를 이 책에서 듣게 되었다. 원인이 있기에 결과가 있다는 상식과도 같은 '프로이트'의 원인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이야기들이다. 막연하게 제대로 안되는 일에 부딪히면 트라우마라는 말을 붙이고 남들과 비교해가며 열등감을 느끼는 현대인에게 정말 필요한 이론이었다. 요즘 너무도 당연시 여겨지는 '프로이트의 이론'을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이야기들을 많이 듣게 되는 것 같다. 가만생각해보면 프로이트의 생각들이 절대진리일 수는 없을텐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거르지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것 같다.
"자네가 불행한 것은 과거의 환경 탓이 아니네. 그렇다고 능력이 부족해서도 아니고, 자네에게는 그저 '용기'가 부족한 것뿐이야." - 본문 중에서
철학자는 불행한 인생은 과거의 환경탓이 아니라 현재의 본인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라 말한다. 그 말에 청년은 그렇다면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했는지, 무슨 이유에서인지 방안에만 갇혀 있는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을 방에서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묻는다. 그 사람이 방에 틀어박혀 나오지 않는 이유는 도대체 무엇이냐고. 일반적인 대답이라면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주면 되겠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과거의 상처를 보듬어주고 트라우마를 극복하게 해줘야한다고. 그런데 철학자는 방에 틀어박혀 있는 사람이 나오려하지 않기때문이란 말을 던진다. 불안해서 밖에 못나오는 것이 아니라 밖으로나오지 못하니까 불안한 감정을 지어내는 것이라 말한다. 청년은 그런 철학자의 말에 터무니없는 주장이라 비난한다. 철학자와 대화를 나누는 청년은 성격은 참 도발적이다. 철학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거침없이 반박하고 자신의 감정을 드러낸다. 독자들은 청년의 이런 모습에서 자신이 품고 있는 의문을 대신해서 풀 수 있다. 기존의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하나씩 이해하고 수긍하게 된다.
"아들러 심리학은 트라우마를 명백히 부정하네. 이런 면이 굉장히 새롭고 획기적이지. 분명히 프로이트의 트라우마 이론은 흥미진진한 데가 있어. 마음의 상처(트라우마)가 현재의 불행을 일으킨다고 생각하지. 인생을 거대한 '이야기'라고 봤을 때, 그 이해하기 쉬운 인과법칙과 드라마틱한 전개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놓아주지 않는 매력이 있어. 하지만 아들러는 트라우마 이론을 부정하면서 이렇게 말했네. '어떠한 경험도 그 자체는 성공의 원인도 실패의 원인도 아니다. 우리는 경험을 통해서 받은 충격- 즉 트라우마 - 으로 고통받는 것이 아니라, 경험 안에서 목적에 맞는 수단을 찾아낸다.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 라고." - 37page
아들러는 '우월성 추구도 열등감도 병이 아니라 건강하고 정상적인 노력과 성장을 하기 위한 자극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열등감도 제대로만 발현하면 노력과 성장의 촉진제가 되는 것이라고! 흔히 열등감은 사람을 주눅들게하고 포기하게 맏드는데 발상의 전환이다. 노력과 성장의 촉진제라니! 과거의 잘못을 떠올리게하고 트라우마를 만드는 것은 미래를 생각하는데 방해가 되고 우울하게 만드는데 아들러의 이론은 긍정의 에너지를 담고 있었다. '인생의 타인과의 경쟁이 아니다'라는 문구에는 이 시대에 필요한 철학이란 생각이 들게한다. 아이들에게도 대학입시를 위해 친구를 밟고 일어서라는 세상, 사회 생활을 하려면 이기적이되야하고 사는건 타인과의 경쟁이라고 머릿속에 박하는 세상을 살기위한 제대로된 가치관을 심어줄 것 같다.
"행복해지려면 '미움받을 용기'도 있어야 하네. 그런 용기가 생겼을 때, 자네의 인간관계는 한순간에 달라질 걸세." - 본문중에서
남이 나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든 마음에 두지 않고, 남이 나를 싫어해도 두려워하지 않고, 인정받지 못한다는 대가를 치르지 않는 한 자신의 뜻대로 살 수 없다는 말은 살면서 꼭 명심해야할 말이지만 실천하기란 요즘같은 세상엔 너무도 버거운 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미움을 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건 정말 강철멘탈이 아니면 어려운 일이기때문이다. 자신을 비난하는 댓글에 태연해질 수 없는 멘탈이기에 이 문구가 정말 어렵게만 느껴졌다. 한번 읽었다고 이 책의 철학적 이야기를 모두 이해했다곤 할 수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여기서 어렵다고만 느끼고 멈춘다면 더 나아갈 수 없다는 건 깨닫게 되었다. 행복해질 용기, '용기'를 내는 수밖에 없다. 지금 여기, 지금 이순간에 강렬한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며 살아가라한다. 과거에 어떤 일이 있었든 간에 지금여기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고 미래에 어떻게 되든간에 지금 여기서 생각할 문제는 아니라고 말한다. 후회되는 과거, 트라우마라 불리는 과거에 연연하지 말고 불안한 미래를 염두해두지 말고 '지금'을 제대로 살라는 뜻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