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당 개 삼년이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39
정하섭 글, 김규택 그림 / 길벗어린이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당개 삼년이.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속담에서 작가가 아이들이 재미있어할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무식한 사람이라도 유식한 사람과 같이 있으면 유식해진다는 속담.

요즘 속담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에게 흥미로운 소재인 것 같다.

아이들에게 전래동화를 들려줘야하는 이유를 찾아보다 꼭 교훈적일 필요는 없다라는 문구를 읽었다.

언제부터인가 아이들에게 할머니가 머리맡에서 들려주던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그냥 이야기를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하고 교훈적인 것들을 추가하고 독후활동을 해야만하는 이야기로 바뀐 것 같다.

엄마도 아이도 그런 활동에 지쳐 점점 책을 멀리하게 되는 것 같다.

책은 그냥 보고 읽고 느끼면 그만 인 것을 마구 무언가를 끄집어 내서 아이들 머릿 속에 집어넣어주려고 하다보니

그런 부작용이 생기는게 아닐까.

서당개 삼년이는 그런 의미에서 아이들에게 잠자리에서 흥미롭게 들려 줄 수 있는 이야기였다.

묻고 따지지도 않고 뭔가 교훈적인 이야기를 끄집어 낼 필요없이 편하게

아이들이 상상하면서 읽어갈 수 있는 이야기다.

옛날 어느 마을에 가난한 훈장님이 살았다. 훈장님은 아이들 가르치는 것도 건성건성, 대충대충이었다.

한 스님이 찾아와 강아지 한마리를 건네며 3년만 길러보면 복을 받게 될거라고 했다.

그 말에 훈장님은 강아지에게 '삼년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딱 3년만 키우기로 했다.

똑똑한 삼년이는 서당 아이들의 귀여움을 한 몸에 받으면서 살게 되었다.

훈장님도 똑똑한 삼년이를 정성껏 돌봤다.

삼년이가 3년만 키우면 복을 가져올 것이라는 말을 믿고 키웠다.

그런데 3년이 지나도 아무런 좋은 일이 생기지 않자 훈장님은 화가 난다.

복은 하나도 안오고 밥이나 축내고 시끄럽기만 하니 개장수가 오면 팔아버려야겠다!

삼년이는 그 말을 듣고 슬퍼했다. 사람의 말을 알아들었던 것이다.

삼년이는 서당에서 아이들이 공부하는 것을 옆에서 들으며 글 읽는 소리도 제법 알아듣고

말도 하게 되었다.

삼년이는 자신이 글을 알면 개장수에게 훈장님이 자신을 팔지 않을거라는 생각에

시를 읊기 시작했다.

세상에 개가 시를 읊다니! 훈장님과 아이들에게 사랑을 듬뿍 받게된 삼년이.

3년이는 과연 어떤 복을 가져왔을까?

훈장님은 삼년이를 개장수에게 팔지 않았을까?

삼년이는 어떻게 되었을까?

딱 한줄의 속담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에서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다니.

아이들이 이 책을 통해 서당개 삼년이면이라는 속담은 절대로 잃어버리지 않을 것 같다.

한 때 아이들에게 속담을 외우게 하는 책들이 있었는데 외우는 것보다 이렇게 이야기를 통해 알게되면 더욱 흥미롭게 알 수 있을 것 같다.

아이들에게 들려줄 더 많은 속담을 다룬 다양한 이야기들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