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빨개지는 아이 장자크 상페의 그림 이야기
장 자크 상뻬 지음, 김호영 옮김 / 별천지(열린책들)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얼굴 빨개지는 아이는 몇번이고 볼때마다 감동을 주는 이야기로 누구에게나 이 책 참 좋아요. 권해주고 싶어요라고 할 그런 책입니다.

아이에게도 물론 계속 읽어주고 싶은 책 중 하나입니다. 이 책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고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집어들었다면 대충 그린듯한 그림과 여백이 더 많은 책에 그냥 덮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잠시 멈춰 몇장을 넘겨서 작게 그려진 그림들에 집중하고 짧은 글들을 읽다보면 푹 빠지게 되는 이야기이니다. 아이들도 이 책한번 읽어볼래?하고 건네면 이게 뭐야하고 대충 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관심을 두고 천천히 들여다보면 이 책의 매력을 알게 될 것 같습니다. 아이들 그림책이지만 어른들이 더 많이 느끼고 좋아할 책이란 생각이 듭니다.

 

"변치말자 약속했던 당신의 친구는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이 질문에 갑자기 어릴 적 친구들이 하나 둘 떠오릅니다.

사느라 바쁘다고 어린 시절 친구들을 이렇게 오랫동안 떠올려본적이 얼마만인지...... 다들 잘 살고 있는지.

지금 이 순간 그 친구들은 나를 생각해줄지. 뭘 하고 있을지 생각에 빠지게 됩니다. 단짝 친구와 손잡고 집에 오는 하교길 길게 뻗은 길을 걸으며 이 길은 우리만 아는 행복길이라며 웃던 기억이 납니다. 굉장히 유치한 상황인데 아직까지도 그 장면이 그림처럼 떠오릅니다. 이 책엔 그런 그림들이 들어있습니다. 떠올리면 기분이 좋아지는 추억들.


마르슬랭 까이유는 시도때도 없이 얼굴이 빨개지는 것때문에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한 병이었습니다. 정작 빨개져야할 때는 빨개지지않고 아무런 이유없이 얼굴이 빨개지기 때문입니다. 어느 순간부터 마르슬랭은 외톨이가 되었습니다. 친구들과도 어울리지도 못했습니다. "저 아이는 병에 걸린게 틀림없어요, 야, 정말 빨같다! 얼굴이 너무 빨개! "친구들의 말을 견디기 힘들어졌습니다. 마르슬랭은 친구도 없이 혼자 노는 것을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왕따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소수자가 되는 것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정말 어려운 일일텐데요. 어린 아이인 마르슬랭은 얼마나 힘들었을까란 생각을 하게됩니다. 하지만 마르슬랭은 괴로워하기보다 자신이 왜 빨개지는지를 궁금해할 뿐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불행하지는 않았습니다. 소수자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눈길에 바로 이런 편견이 들어있는 것 같습니다. 다르기 때문에 불행할 것이다. 그래서 자꾸 외면하게 되고 결국 혼자가 되고 마는 악순환. 책 속 마르슬랭은 다르지만 행복해보입니다.

 

 

 

 

 

어느 날 마르슬랭은 계속 재채기하는 꼬마 남자아이를 발견하게 됩니다. 마르슬랭은 "너 감기 걸렸니?"라며 먼저 말을 겁니다. 그 아이는 르네 라토라는 매력적인 아이였습니다. 그렇지만 르네 역시 아주 희한한 병에 걸려있었는데요. 바로 자꾸만 재채기를 하는 병이었어요. 시도때도 없이 나오는 재채기때문에 르네도 혼자있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비슷한 점을 발견한 마르슬랭과 르네는 서로를 이해하고 친구가 됩니다. 마르슬랭이 재채기하는 르네를 향해 "난 네가 재채기 하는 모습이 너무 좋아."라고 말하는 모습에는 코끝이 찡해집니다.

 

둘은 서로의 컴플렉스를 알고 있지만 그걸 불행하다거나 병이라고 생각하거나 다른 사람들처럼 나쁘게 보지 않았습니다. 르네와 마르슬랭이 서로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엔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색안경을 끼고 쳐다보게됩니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도 마찬가지죠. 이 둘의 모습에서 많은 것들을 느끼게됩니다. 아이들은 이 둘의 이야기를 통해 먼저 다가가서 친구가 되고 다른 점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들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요.

 

 


 

 

 

행복해보이기만 한 이 둘사이에 큰 일이 벌어지고 맙니다. 르네가 갑자기 말도 없이 이사를 가게 된 것이었어요. 르네를 보러간 집에서 텅비어있는 집을 보고 멍하게 서있는 마르슬랭의 모습에서 당황했을 그 마음이 느껴졌습니다. 얼마나 놀라고 마음이 아팠을까요. 마르슬랭은 부모님께 르네가 떠났다고 말하지만 부모님은 바쁘다는 이유로 르네의 마지막 편지를 찾아주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부모들이란 어떤 사람들인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부모들은 항상 해야할 일들이 쌓여 있고, 항상 시간에 쫓긴다......"

"또 너니? 얘야. 아빠가 일하고 있는 거 보이지 않니... "

 

아! 마르슬랭 부모의 모습을 보면서 뜨끔하고 맙니다. 아이가 진정으로 뭔가를 원해서 나에게 말을 걸었을때 나는 아이의 말에 얼마만큼 집중해서 들어주었을까? 평상시에는 이런 생각을 하지 않고 사는 것 같습니다. 내가 여유가 있을 때는 조금 신경을 써준다고 의식적으로 대하지만 그렇지 않을때는 마르슬랭의 부모와 마찬가지로 행동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뜨끔뜨끔. 부모들이란 어떤 사람들인지 잘 알고 있을 것이다라는 말에 뜨끔합니다. 내 아이에게 나도 이렇게 비치겠구나.


 


 

 

 

마르슬랭은 르네를 그리워하지만 그래도 많은 친구들을 사귀었고 서로의 소식을 모른채 그대로 어른이 되었습니다.

여전히 얼굴이 빨개지는 마르슬랭, 여전히 재채기를 하는 르네.

그둘은 과연 어른이 되서 만날 수 있었을까요? 둘의 우정은 계속되었을까요?

그걸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뜨끈해지는 이야기입니다.

앞부분의 이야기도 참 따뜻했지만 마지막부분의 이야기가 더욱 따뜻하게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가만 생각해보니 그 이유가 현실에서는 이루어지기 아주 힘든 일이기때문이 아닐까란 생각에 마음이 저려옵니다.
갑자기 어릴 적 손잡고 길을 걷던 얼굴도 어렴풋해진 양갈래머리를 친구가 생각납니다.

 

친구야! 넌 지금 잘 살고 있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