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증후군 증후군 시리즈 1
누쿠이 도쿠로 지음, 노재명 옮김 / 다산책방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실종증후군 누쿠이 도쿠로

 

'통곡'과 '난반사'에 이어 '범죄 신드롬 3부작' 실종증후군을 들었다.

이미 읽었던 책들에 비해 이번 작품은 아쉽게도 입이 쩍 벌어지도록 감탄사가 나오진 않았다.

통곡과 난반사가 워낙 강렬한 인상으로 남았던 것인지 기대치가 너무도 상승한 탓인지.

 

실종증후군, 유괴증후군, 살인증후군 상.하로 총 3부작으로 그 첫번째 이야기가 실종증후군이다.

표지가 강렬하다. 가면을 쓰고 있는 사람들. 책의 결말을 알고나니 책 표지의 이미지가 정말 딱!이다.

 

범죄 신드롬 3부작은 일본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 문제들에 관해 다루고 있다.

이번 이야기는 실종. 행방불명에서부터 자발적 실종까지 끊임없이 사라지고 있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사는데 힘든 일이 생길때면 누구든 지금의 상황을 벗어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아무도 없는 곳으로 떠나버리면 좋겠다는 생각은 물론이고 전혀 다른 사람으로 태어나고 싶어진다.

 

실종증후군에서는 인생 리셋을 원하는 젊은이들이 등장한다.

어릴적 너무도 착하고 순종적이던 아이가 숨겨진 반항심을 마음속에 꽁꽁 숨기고 있다가 대학생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자 갑자기 자발적 실종을 단행한다. 주변 사람들은 모두 행방불명, 실종이라 여기고 찾아 헤매는데 정작 당사자는 새로운 이름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한다. 경제적으로 힘들지만 부모가 간섭하지 않는 전혀 새로운 삶을 사는 것이 기쁘다.

그 사실을 알게 된 부모는 하루아침에 변해버린 자식을 보며 배신감을 느낀다.

 

부모된 입장으로 자발적 실종이 정말 충격적이었다.

부모의 간섭을 못견뎌서 자신을 버릴 생각을 하게되다니!

아이를 위한답시고 내가 하고 있는 행동들이 내 아이에게 어떤 느낌으로 받아들여지를 골똘하게 생각하게 된다.

한편으로 어릴 적 나를 돌아보게 된다. 인생 리셋을 감행하진 못했지만 답답함을 느끼고 있었다는 걸 깨닫게 된다.

비현실적일 것만 같던 인생 리셋에 관한 이야기가 현실에서도 충분히 가능할지도 모른다. 

경찰이 해결하지 못한 사건들을 비밀스럽게 해결하고 있는 다마키 비밀수사팀은 실종된 사람들을 찾아나선다.

비밀수사팀은 수사를 해갈 수록 점점 실종된 사람들의 공통점을 발견하고 인생 리셋과 관련된 불법이 행해지고 있단 사실을 밝혀낸다.


다마키 비밀수사팀은 4명으로 구성되어있다.

다카미 게이고는 경시청 경무부 인사2과에 근무하며 비밀수사팀을 이끌고 있다.
사무실에서는 부산하게 움직이며 왔다갔다하며 도대체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사람이지만 경찰에서 다루기 힘든 사건을 해결한다. 신사복이 어울리는 그럴사한 외모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무토 다카시시청는 기동대 출신으로 현재 탁발승이다. 유괴증후군의 주역으로 등장한다.

구라모치 마사하에 교통과에 근무하던 전직 경찰로 공사현장에서 막노동을 하고 있다. 살인증후군의 주역이다.

하라다 마사이치로 이 책 실종증후군의 주역이다. 책을 읽으면서 하라다의 이야기는 많이 나오는데 다른 비밀수사팀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지 않아서 궁금했는데 각 증후군마다 주인공이 따로 있었기 때문인가보다. 

주역 하라다 마사이치로의 가정사가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경시청 수사1과에 근무했지만 상사와의 트러블로 경찰을 퇴직하고 사립탐정으로 일하는 하라다.

그의 아내는 하라다의 사정을 잘 알고 이해하고 있지만 그의 딸은 남의 바람난 아내나 찾아주는 더러운 일을 한다면서 경찰을 그만둔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한다. 게다가 사립탐정일을 한다고 자신을 제대로 돌보지 않고 관심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아버지를 미워하고 증오하기까지한다. 아버지를 오해하고 있는 딸. 점점 하라다와 어긋나기만하는데 실종증후군을 수사하게 되면서 젠크라는 밴드와 딸이 연관되어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이 책은 실종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하라다와 딸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대화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아버지와 딸의 관계를 들려주며 오해를 푸는 과정을 보여준다.

 

자신을 버리고 자발적 실종을 감행하는 사람들과 온갖 비행과 어긋난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보다 하라다와 그의 딸의 이야기에 더욱 눈이 간다.

 

결론이 너무 막연하게 끝을 맺어버린다. 뭔가 엄청난 사건이 빵하고 터지고 시원하게 뭔가 해결될 것 같은데 갑자기 끝나버린 것 같다.

다음 권 유괴증후군을 읽어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