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이 주는 기쁨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의 책이기에! 도서관에서 냉큼 집어온 책 슬픔이 주는 기쁨.

작가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베스트셀러 목록에 있는 작가라면 호기심이 동하는게 사실이다.

책도 마찬가지지만. 도대체 어떤 작가길래 사람들의 좋아하는 이야기를 쓸까라는 호기심.

이책은 알랭 드 보통의 일상을 바라보는 그만의 시각을 담고 있는 에세이다.

 

알랭 드 보통의 에세이 선집으로 펭귄 출판사가 창립 70년을 기념하여 출간한 70권의 작품 중 70번째 책이다.
9편의 에세이를 담고 있다.

동물원에 가기 알랭 드 보통 <이레> 개정판으로  슬픔이 주는 기쁨  <청미래>로 나온 것이다.

요즘 인기있는 작가의 예전 책들이 다시 개정판으로 나오고 있는데 왠 심통인지 예전 책들에 더 눈이간다.

얼마전 노르웨이의 숲도 빨강과 초록의 선명한 책표지가 다시 나오길 바라고 있었는데...

그 아쉬움이 가시지 않았는지 괜한 심통으로 예전 책의 제목 에세이가 더 정이간다.

 

각 제목은 책 속 에세이의 제목이기도 한데 개인적으론 제목이 주는 느낌은 슬픔이 주는 기쁨이 더 좋았지만

공감가는 내용은 동물원에 가기였다.

 

공항에 가기, 일과 행복, 독신남, 글쓰기 등 일상에 관한 작가의 짧막한 생각을 담고 있기에

그때 그때 읽는 독자의 기분에 따라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듯하다.




 

 

 

 

동물원에 가기 첫 문 장  "아이도 없이 동물원에 간다고 하면 사람들이 이상하게 본다."

 

동물원에 가서 동물을 보면서 느끼는 생각들을 담았다.

아이들에 치여 관람객들에 치여 아무생각도 나지 않았을 동물원.

알랭 드 보통의 생각을 따라가다보면 나도 다시 한번 동물원에 가 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다.

 

특히 무심한 듯 코를 후비고 있는 오랑우탄의 그림이 인상적이다!

마지막 풍선을 들고 있는 오랑우탄의 뒷모습도!

 

"동물들이 결국 그렇게 이상하게 보이게 된 것은 자연 환경에 적응했다는 표시이다라고 다윈은 말했다.

레전트 파크 동물원에서는 그 말을 의심할 사람이 아무도 없을 것이다.......

식당에서 점심을 사 먹는 사람이라면 자기 얼굴이 그렇게 독특한 모양으로 바뀔지도 모르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같다.

나는 진흙탕에서 뒹구는 타르 색깔의 난쟁이하마들을 지켜보며 아이스크림을 마저 먹다가 우울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머릿속에는 "공룡"이라는 말이 떠올랐다. 그 하마들이 공룡을 닮아서가 아니라,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서

목숨이 위태로워진 본보기로 그 말이 떠올랐던 것이다." - 83page 동물원에 가기 중

 

 

 

 

 

 

"동물원은 동물을 인간처럼 보이게 하는 동시에 인간을 동물처럼 보이게 하여 마음을 어지럽힌다."

 

그냥 스쳐지나는 일상을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구나. 이런 생각들로 채우면서 살 수 있구나 감탄하게 된다.

9편의 모든 에세이들이 마음을 움직이지는 않았다.

아마도 지금 내게 딱 맞는 상황의 이야기가 아니었기 때문일거다.

언젠가 상황에 맞는 경우가 나오면 아! 내가 왜 그 때 이느낌을 몰랐지?하며 의문이 가질 날이 올지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ella24 2014-11-27 0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감입니다. 동물원에 가기는 이제 재고도 없어서 더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