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 동창생 - 열아홉, 소년의 약속
윤이경 지음, 김수영 각본, 오동진 인터뷰.글 / 북폴리오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빅뱅 최승현 주연영화 동창생의 시나리오를 각색한 소설이 나왔다. 열아홉, 소년의 약속 동창생.
요즘 남파공작원을 다룬 영화를 자주 만나게 된다.
김수현 주연의 은밀하게 위대하게가 크게 흥행이 되면서 그동안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소재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는 듯하다.
빅뱅 최승현을 주인공으로 한 동창생, 김기덕 감독의 붉은 가족이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
동창생은 유쾌하고 코믹한 면을 담고 있던 은밀하게 위대하게와는 다르게 남파공작원들의 아픔과 액션에 주력했다고 한다.
앞으로 개봉하게될 동창생 영화를 보기 전 소설을 먼저 만나봤다.

"당신은... 날... 살인마로 만들었어."
아버지가 돌아오는 날 열아홉 소년 리명훈은 친구들과의 축구도 뒤로하고 집으로 향한다.
하지만 집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던 건 아버지가 아니라 머리에 총을 맞아 싸늘하게 식어있는 어머니와 한쪽에서 울고 있는 여동생 혜인이었다. 남파공작원이었던 아버지가 누명을 썼다. 명훈의 인생은 피아노를 좋아하던 학생에서 남파공작원으로 바뀌었다.
동생 혜인을 살리고 싶으면 남한으로 내려가 자신들이 내리는 명령을 따르라고 했다.
명훈은 하나밖에 남지 않은 가족 혜인을 살리기 위해 비밀을 간직한 한국의 평범한 열아홉 고등학생으로 살아간다.
살인무기로 키워진 리명훈은 사람들의 눈을 끌지 않기 위해 일진을 피해다니고 조용한 학생 강대훈이 되었다.
북에 두고 온 동생과 같은 이름이었기에 관심이 있었던 같은 반 아이 혜인.
학교에서 일진에게 돈을 뺏기고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하는 혜인을 도와주기 시작하면서 둘은 서로에게 친구가 된다.
급변하는 북한의 정세로 하루아침에 버림받게 된 리명훈과 그를 제거하려는 또 다른 세력, 국정원의 쫓고 쫓기는 액션이 나온다. 아쉽게도 책으로는 화려한 액션을 느낄 수는 없었다. 대신 영상으로 보여주지 못했던 인물들의 심리상태등을 책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누구를 위한 싸움일까.
전쟁은 군인보다 아이와 아녀자들의 희생이 더 많다는 말이 있다. 진위여부를 떠나 그만큼 억울한 희생이 많다는 의미일 것 같다.
누군가의 권력을 위해 이용당하고 삶을 포기해야하는 삶. 이보다 지독한 인생을 없을거란 생각이 든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권력가의 탐욕을 채워주기 위해 꼭두각시처럼 이용당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다.
점점 반공, 간첩등의 말이 세대가 지나갈 수록 흐릿해지는 것 같다. 뭔가를 나누고 다르게 분리하지 않는다는 건 좋은 것이지만 그것이 무관심으로 이어진다면 문제가 될 것 같다. 요즘 아이들에게 간첩이 뭔지 알아?라고 물어보면 대답하는 아이들이 얼마나 될까.
예전처럼 입이 쫙 찢어진 늑대 그림을 보며주며 이게 간첩이다라는 교육은 정말 잘못된 것이지만 시험에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교육조차 하지 않는 현실이 참 답답하다.

동창생 소설속 남매. 리명훈과 그의 동생 혜인.
의좋게 안고 있는 이 장면을 보니 남파공작원이란 이름속에 갇혀 또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는 그들의 아픔이 느껴진다.
도대체 누굴 위해 그런 삶을 살고 있는 것인지.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더욱 속이 쓰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