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되고 싶은 아이 시공주니어 문고 1단계 56
조성자 글, 주성희 그림 / 시공주니어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을 닮아가는 아이들 - 돈이 되고 싶은 아이

 

이 책을 읽고 나니 아이들 앞에서 전대로 돈,돈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언제부터인가 아이들에게 공부해라!를 강요하면서 자연스럽게 습관처럼 붙는 말이 있다.

"그래야 나중에 돈도 많이 벌고 니가 하고 싶은 거 다하면서 행복하게 잘 살 수 있다."

지금 아이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는 있지만 현실의 나보다 더 멋지게 잘 살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아이들에게 이런 사족을 달고있다. 그런데 그 말에 속뜻을 알아달라는 바람과는 달리 아이들은 '돈'이라는 것에 더 집중하게 되는 것 같다.

 

돈이 되고 싶은 아이는 어른들의 그런 잘못된 생각을 닮아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코믹하게 담아내고 있다.

초등저학년 문고이지만 어른들이 미쳐 모르는 사이에 자신들을 그대로 닮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뜨악하고 정신을 차리게 될 이야기다.

 

 

 

초등학교 수업시간. 선생님이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을 말해보라고 했다.

이 책의 주인공 세지는 아빠처럼 요리사가 되는 것이 꿈이다. 그런데 세지의 짝은 돈이 되고 싶다고 한다.

 

"우리 엄마, 아빠는 항상 돈,돈,돈 이야기를 해요. 제가 장난감을 사 달라고 하면 '그놈의 돈이 없어서'라고 하고, 여행을 가자고 하면 돈이 너무 많이 든대요. 우리 할머니가 병원에 입원하셨는데 돈이 많이 필요하대요. 그래서 돈이 되고 싶어요."

-11page

 

아이의 말을 들어보면 어른들이 늘 입에 달고 사는 말들이다. 정말 그놈의 돈때문에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지도 못하고 사달라는 것 해달라는 것 모두 해주지 못한다. 돈만 있으면 모두 다 해줄 수 있을 것 같은데 행복은 보장될 것만 같은데 말이다. 그런데 아이들도 그런 어른들의 마음을 눈치채고 있는가보다. 엄마, 아빠가 필요한 돈이 되고 싶다는 말에 씁쓸함이 밀려오기 시작한다.

 

 

 

 

 

조금은 엉뚱하기도 하고 맨날 돈,돈 거리는 짝꿍 차운보는 별명이 그래서 '돈운보'다.

세지는 요리사를 꿈꾸는 행복한 아빠덕분에 매일이 즐겁다. 엄마의 보물 1호 접시를 몰래 꺼내 요리를 담고 밥을 먹고 나면 아빠와 함께 소파에서 책을 읽기도 하고 간식도 만든다. 비록 접시를 깨기도하지만 아빠는 설거지도 허락해준다.

 

"행복하게 사는 게 가장 중요해!하고 싶은 하면서 살면 행복해서 룰루랄라 노래가 나오거든." - 19page

 

세지의 아빠는 세지의 눈에 더없이 행복한 아빠다. 그래서 세지는 아뻐처럼 되고 싶어했던 것이다.

짝꿍 돈운보의 엄마,아빠는? 안타깝게도 주말도 없이 부지런히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할 수 없이 아이에게 돈을 주고 혼자 저녁을 챙겨먹게 하고 있다.

 

"우리 엄마, 아빠는 고깃집 하는 게 행복하지 않대요. 엄마는 나랑 놀고 싶대요. 그래서 제가 가게 나가지 말고 놀자고 했더니 나중을 위해선 참아야 한대요. 다 저를 위해서 돈을 버는 거라면서요."

"그렇구나. 아마 너를 사랑하기 때문에 행복하지 않아도 참고 일하시는 걸 거야. 엄마, 아빠에게는 네가 가장 소중하니까."

- 50page

 

아이가 세상에서 가장 소중하다는 것도 안다. 가족이 행복하게 사는 게 뭔지도 알고 있다. 그렇다고 생계를 등한시하며 마주보고 앉아있는 것도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돈운보처럼 아이가 부모는 자기가 없어도 돈이랑 살면 된다는 생각을 하도록 해서는 안되겠단 생각이 든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처럼 아이의 행복과 가족의 행복을 하루 하루 돈과 바꾸며 미뤄가다가는 다시 찾을 수 없을 지도 모른다. 현실과 행복이라는 두가지 갈래길에서 좀처럼 갈피를 잡지못하고 갈팡질팡하게 되는 것 같다. 이런 모습을 아이가 보면 어떤 생각을 할까?

이 책에서 들려주는 행복한 세지네와 돈을 쫓느라 바쁜 돈운보네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어떤 길로 가야할지가 보이는 것 같다.

 

 

 

 

 

돈이 없어서 저녁을 못먹고 놀이터에 앉아있는 친구에게 "우리 엄마가 맛있는거 해줄거야. 우리집에 가자!" 라고 말할 수 있는 아이.

우리 아이들이 그렇게 자라주면 참 좋겠다.

나 또한 아이가 데려온 친구에게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허물없이 대접할 수 있는 엄마가 되고 싶다.

 

'돈'이 최고라 생각하게 되는 요즘.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읽어보면 좋을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