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천재가 간다 1 : 아빠 구출 대작전 456 Book 클럽
엘리스 위너 글, 제레미 홈즈 그림, 이주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56book클럽 시리즈 쌍둥이 천재가 간다!

 


아이들은 두꺼운 책을 재미없어한다? 책을 싫어한다?

그건 꼭 맞는 말은 아닌 것 같다!!

초등학생 큰아이가 좋아하는 책들을 보면 양장본의 예쁜 표지를 뽑내는 아주 두꺼운 책들이다.

성인들이 보는 책이라고 할만큼 글밥도 가득하고 두께도 두툼한!

학교 추천도서로 나오는 책들은 솔직히 어른인 내가 보기에도 재미가 없다.

물론 아이들이 읽으면 유익하고 학습효과는 확실히 보증되는 책일테지만 공부와 관련된 학과연계 도서인지

정말 읽어내려가기 버겁다.

그런 종류의 책들만 아이들에게 던져주면서 책을 도대체 왜 안읽느냐!고 뭐라고 하는 거였다면?

엄청나게 두꺼운 경제학도서, 인문학도서를 들려주면 읽어보라는 것과 뭐가 다를까란 생각이 들었다.

바로 이 책을 보고서!

 

파란색 양장본에 첫 페이지는 넘기자마자 심상치않은 분위기를 풍긴다.

"머리말 이제부터 시작 이것으로 끝."

아니이게 뭐지? 책 표지만 파란색이 아니라 종이 전부가 푸른빛이다.

그리고 몇 장을 읽을 때마다 저자는 "제대로 읽었나? 확인 문제!"를 내고 있다.

아주 독특한 책이다.

 

글밥많은 책을 읽는 것을 어려워하는 아이라면 이 책을 들려주면 호기심에라도 끝까지 읽어볼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참 독특한 발상을 한 것 같다.

이야기도 무척 흥미롭지만 아이들에게 이 책을 어떻게 하면 끝까지 잘 읽게할 수 있을까 고민한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특히나 블로냐라가치상을 수상한 그림작가의 독특한 그림들로 눈길을 끈다.

글을 읽기 버겁다면 그림을 보고 제대로 읽었나? 확인 문제!라고 테클을 걸어오고 중간 중간 이야기와는 별도로

작가의 말을 들려주는데 책을 읽는다는 느낌보다 작가에게 이야기를 듣고 있는 느낌이 든다.

이야기가 진행되다 뜬금없이 등장하는 커다란 말풍선으로 아이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중요한 요점이 뭔지!

아이들이 지금 뭘 읽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짚어주고 있다.

아직까지 두꺼운 양장본 읽기에 한번도 성공하지 못한 아이일지라도 이 책은 호기심에라도 끝까지 볼 책이란 생각이 든다.

 

 


 

 

"쌍둥이 천재 남매는 발명품 도둑의 손에서 아빠를 구하기 위해 아주 기발한 꾀로

이런저런 작전을 세운다. 끝.

아무 말 없는 걸 보니, 이 책의 (아주 정확한) 요약이 마음에 안 들었나 봐.

내용이 궁금하면 책을 읽으면 돼. 어짜피 그러려고 집은 거 아냐?" - 작가의 책소개글

 

이 책은 템플턴 교수와 그의 이란성 쌍둥이 존과 애비게일의 이야기이다.

대학에서 강의중이던 템플턴 교수는 아내가 출산을 앞두고 있어서 정작 마음은 콩밭에 가 있었다.

잘생긴 학생이 자신은 F학점이 나올수가 없다며 항의를 하지만 템플턴 교수는 부정행위를 했기때문에 당연하다고 말한다.

F학점을 받으면 학교를 그만둬야하기 때문에 제발 C를 달라고 부탁하지만 그 순간 아내가 이란성 쌍둥이를 낳았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템플턴 교수는 잘생긴 학생에게 F학점이라는 못만 박아두고 뒤도 돌아보지 않고 그 자리를 떠나버린다.

그 후 세월이 흘러 다시 마주치게된 템플턴 교수와 잘생인 학생.

F학점을 받은 이후 학교를 더이상 다닐 수 없게 된 그는 템플턴 교수에게 복수를 시작한다.

하나 둘 밝혀지는 잘생긴 학생의 정체. 그리고 계속되는 템플턴 가족의 위기.

언어 천재 애비게일, 조립천재 존 이란성 쌍둥이는 번뜩이는 재치로 위험에 처한 아빠와 그들에게 닥친 위기를 극복한다는 이야기이다.

 

읽으면서 안타까운 사실은 물론 부정행위를 해서 F학점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아이가 태어난 것에 집중하는 바람에

그의 이야기에 좀 더 귀를 귀울여주고 속사정을 들어보려하지 않았다는 점은 계속 마음에 쓰이는 부분이었다.

그 때 템플턴 교수가 무조건!이라는 생각대신에 어쩌면?이라는 생각으로 그에게 다른 조건을 제시했더라면 좀 더 나은 삶을 살지 않았을까하는 안타까움이 든다. 아이들도 이런 것에 대해서도 깊게 한번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읽는 재미가 아주 쏠쏠한 독특한 책이었다. 지루한 책읽기를 부담스러워하는 아이들에게 권할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