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칠한 재석이가 사라졌다 (양장) 까칠한 재석이
고정욱 지음 / 애플북스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도 한번 읽기 시작했다가 리뷰를 남기지 않아서 기억에 잘 남지 않았던 '까칠한 재석이가 사라졌다.'다.

제목에 끌려서 다시 읽게 된 책이다.

완득이, 인간합격 데드라인등 이와 비슷한 주제의 책들을 요즘 많이 접하게 되는 것 같다.

까칠한 재석이를 다른 책들에서도 너무도 많이 접해왔기에 새롭게 다가오진 못했다.

아마도 처음 출간했을 당시에 이 책을 봤다면 무척 재미있게 봤을텐데 말이다.

책에도 읽어야할 시기가 있는 것 같다. 조금 더 일찍 만나 리뷰를 남겼다면 좀 더 다른 느낌으로 가득 채워졌을 것 같다.

까칠한 재석이는 한마디로 문제학생이다.

학교에서 불량 폭력 서클의 일원인 재석이는 친구가 중학생들에게 얻어 맞자

그 복수를 해주려고 뒤에서 폼잡으며 병풍이 되어주다가 사회봉사를 하게 된다.

몸이 불편한 노인들을 도와주는 일을 하게 된 재석이는 그곳에서 몸이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노력으로 서예를 하고 있는 할어버지를 우연히 만나게 된다.

 

할아버지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자신의 손녀딸과 불량한 재석이가 친구가 되게 해주고

정신을 차리고 제대로 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기 시작한다.

손녀딸에게 한눈에 반한 재석이는 자신이 몸담고 있는 폭력서클에서 탈퇴하기 위해 무던한 애를 쓰는데...

 

이야기의 패턴은 이미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기에 별다르진 않았다.
하지만 눈길을 계속 사로잡게 했던 건.

저자의 이야기였다. 1급 장애인으로 의사가 되겠다는 목표하나로 살았던 저자는 장애인은 의대에 지원조차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하지만 공대라든가 자연계학과 어느 곳에서도 1급 장애인 학생은 받아주지 않는다는 사실에 좌절하지 않고

국문학과에 가고 이렇게 유명한 작가가 되었다.

까칠한 재석이보다 저자의 이야기가 담겨진 이 몇줄이 더 감동으로 다가왔다.

 

책 속에서 까칠한 재석이보다 한팔과 한다리를 잃고도 굴하지 않고 서예를 하고 있는 할아버지에게 눈길이 가는건

아마도 그런 이유일 것이다.

 

 

한편으로 까칠한 재석이를 보면서 자칭 타칭 불량아로 불리는 청소년들을 다시 밝은 곳으로 끌어오는 것은

스스로만의 힘으로는 많이 힘들다는 것을 아니 불가능하다는 것도 느끼게된다.

아이들에게 그만두라고만 한다고 그만 둘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낀다.

아이들이 그렇게 밖에 될 수 없었던 이유가 있었다면 어른들은 그런 아이에게 손을 뻗어 꺼내올 이유도 있는 것 같다.

불량아라는 시선으로 그들을 더욱 음지로 몰아넣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아이들의 마음을 좀 더 바라봐줄 줄 아는 어른이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