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요정
김한민 글.그림 / 세미콜론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간의 요정

 

제목만큼이나 무척 독특한 이야기인 것 같다.

부시시한 머리에 커다란 눈. 두 손에는 책같은 것을 꼭 쥐고 있다. 무슨 사연이 있을 것만 같은 이 모습에 책을 들게 된다.

왜 일까? 난 이 아이가 남자인 줄로만 알았다. 이것도 나의 편견.

세상에 요정이야기라니!라며 아이들 책인가? 라고 다시 살펴보게 되는 나의 편견.

시는 어려운 거야. 이것도 나의 편견.

 

이 책의 나의 편견에도 불구하고 덮지않고 끝까지 보게하는 매력이 있었다. 책 속 요정들의 향기를 맡아서였을까?

 

 

"누구나 자기마느이 공간을 하나씩 갖고 있겠죠? 혼자 생각에 잠기거나 감상에 빠지고 싶을 때,

눈치 안 보고 실컷 울고 싶을 때 찾아가는 곳...  사적이고 상처 받기 쉬워서 사람 때를 탈까 봐

늘 염려가 되는, 다른 곳은 다 양보하더라도 여기만큼은 이대로 영원히 변치 않았으면 하는 그런 공간 말이에요.

내게도 그런 곳이 있어요." - 본문 중에서

 

이렇게 시작하는 이 책은 나만의 공간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사람은 누구나 '공간'이라는 것을 갖고 있는 것 같다.

바쁘고 일에 치였을 때는 모르지만 여유가 생기고 마음이 아프거나 우울해질 때 찾게 되는 곳.

그리고 행복했던 한 때를 떠올리면 그런 추억과 함께 떠오르는 공간.

이 책은 그런 공간을 소재로 무척 신기한 요정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지금도 방안 한구석에 보이지 않는 모습으로 향기를 폴폴 풍기고 있을 것만 같은 요정들.

현대인들의 눈엔 보이지도 않고 사라져가는 공간때문에 자취를 감춰 동물원이라는 곳에서

목이 굽은 콘돌에게 먹혀 다음 생애엔 좋은 곳으로 가고 싶어하는 요정들.

 

처음 이 책의 이야기를 봤을 땐 현실에 상처받은 아버지가 딸아이를 가게에 딸린 한쪽 방에 고립된 삶을 살게하고

생업을 뒤로 하고 보통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연구들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상하게 현실적인 모습을 상상하게 된다.

이 아버지는 생업을 뒤로 하며 이상한 연구에만 전념을 했기에 엄마가 아이를 두고 떠난 것이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참 모호해지게 만든다.

 

끝을 향해가면서는 요정, 시지렁이, 지렁이에게 시를 들려주면 시를 쓴다는 설정등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

마음의 문이 닫혀있는 어른들보다 아이들이 읽으면 더 좋아할 것 같은 이야기였다.

 

행복한 결말이었다면 좋았을텐데...

시간이 지나 아이가 자란 후 다시 동물원을 방문하면서 목 굽은 콘돌이 사라졌을까봐 코너 모퉁이를 돌며

걱정하는 모습은 그래서 더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다.

 

말도 안되는 이야기겠지만 갑자기 '파이이야기'가 떠오르면서 아이가 들려주는 이야기가 요정 이야기가 아니라

비극적인 현실의 이야기를 담은게 아닐까?라는 엉뚱한 생각도 든다.

상상이 지나친게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