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한 살의 가방
황선미 지음, 김중석 옮김 / 조선북스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푸른 개 장발의 저자 황선미 작가의 책이기에 두말없이 보게 된 책이었다. 아이들 책임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어른이 된 나를 더 돌아보게된다. 그리고 아이들을 어떻게 대하고 바라봐야할지를 조용히 알려주는 것 같다.
이 책은 위탁가정에서 자라게된 열한 살의 믿음이의 이야기이다. 처음 있던 위탁 가정에선 친아들때문에 유학간다고 믿음이만 홀로 남겨졌다. 진짜 가족이 아니라서 데려갈 수가 없다고 했다. 그리고 새로 맡겨진 위탁가정. 그곳은 아이가 없는 부자집이었다. 외동아들처럼 곱게 키워주시는 분들. 하지만 물질적인 부분만 채워주실 분 믿음이의 마음을 헤아려주시는 분들은 아니었다.
믿음이에게는 자신이 버려질때 안고 있던 곰인형과 낡은 담요가 무엇보다 소중하다. 하지만 도우미 아줌마도, 위탁가정의 새부모님들도 그 마음을 전혀 알아주지 않는다. 그저 적응하기 위해서는 예전의 것들을 모두 버리고 새롭게 시작해야한다는 말씀만 하신다. 점점 그럴 수록 자신이 것들을 지키기 위해 마음의 문을 닫고 곰과 담요를 지키기 위해 애쓴다. 그럴 수록 주변과 점점 거리가 멀어지고 생각지 않던 일들이 벌어진다.
열한 살의 가방에는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어른과 그렇지 못하는 어른들이 나온다. 그렇지 못한 어른들때문에 믿음이는 홀로 상처를 받으며 살아간다. 갖고 싶은게 뭐냐고 묻던 자원봉사자에게 자신의 소중한 것들을 담기 위해 가방을 갖고 싶다고 했다. 그런데 그 가방이 믿음이는 모르게 창고에 들어있었다. 그 장면을 보면서 아이를 위한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된다. 아이가 진짜로 원하는 것은? 하고 싶은 것들은? 무얼 보고 살아가는지? 그런 것들에 더 눈과 귀를 기울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형편이 어려워 위탁가정에 맡겨지는 아이들이 있다. 편견없는 눈으로 그 아이들을 바라봐야하는데 나부터도 뭔가 색안경을 끼며 보게된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지적질하는 모습은 참 위선이라는 생각이 든다. 부모가 먼저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좋은 말들을 올바른 말들을 많이 해줘야겠다.
아이들은 다 똑같다. 다만 아이들을 바라보는 어른들이 다를 뿐이다.
"어른들도 완벽하지 않아. 아이처럼 실수하면서 배우지."
가슴 뭉클했던 것은 나쁜 어른으로만 보이던 책 속의 사람들이 실수를 인정하고 하나씩 배워가는 모습을 보게 된다는 점이다. 처음부터 나쁜 사람도 처음부터 좋은 사람도 없다. 사람은 실수를 통해 배우고 변하는 것이니까. 아이들은 더더욱 마찬가지일테고.
엄마조차도 겨우 담요에 싸서 버렸던 애들, 정말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해 아이를 위탁 가정으로 보낼 수 밖에 없는 부모들. 쌀쌀해지는 이때, 따뜻하게만 행복하게만 살았으면 좋겠다. 더이상 아파하지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