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비, 혼례를 치르다 - 옛날 관혼상제로 본 우리 역사 처음읽는 역사동화 4
세계로.이경민 지음, 최현묵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관혼상제로 본 우리 역사 - 이선비, 혼례를 치르다

 

예전엔 화려한 웨딩드레스의 결혼식이 눈에 들어왔는데요. 지금은 소박해보이는 우리 나라 전통 혼례에 더 눈이 갑니다.

이선비, 혼례를 치르다의 환하게 웃고 있는 두 신랑, 신부를 보니 더욱 그런 생각이 들어요. 신랑, 각시가 서로 알콩달콩 예쁘게 살아갈 것 같다는 생각이 절로 드는 그림이에요.

아이들이 전통 혼례, 장례등 예전의 생활 풍습을 실제로 접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아요. 민속촌이나 박물관에 전시된 모습으로만 접할 수 있지요. 저도 그런 것들을 보며 아이들에게 설명을 많이 해주고는 싶은데 아는 게 없어서 그저 바라보기만 했는데요. 이 책을 보고 가면 아주 유용할 것 같아요.

 

 

 

이선비, 혼례를 치르다는 옛날 관혼상제를 다루고 있는데요.

임금님이 부탁하신 책을 찾으라는 명령을 받은 이선비는 아버님의 병환으로 고향에 가게됩니다. 주인공 이선비를 따라 고향을 돌아다니며 옛사람들의 관혼상제 풍습을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쉽게 접할 수 있어요.
그리고 열 살 적에 만난 울보 소녀와 다시 재회해서 혼례를 치루게 되는 이선비의 낭만적인 이야기도 함께 들을 수 있어요.

 

전체적인 이야기와는 별도로 중간중간 우리 역사와 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진을 곁들인 자료를 통해 초등학교 교과서와도 연계되어있어서 유용해요. 죽은 사람을 보내는 의례, 마을 사람들이 함께 지내는 제례, 성인이 되는 의례, 태어나서 처음 맞는 의례, 조상들을 모시는 의례, 경사 스러운 의례 혼례까지 우리 선조들의 일상모습을 보여줍니다.

현재까지 내려오는 지역의 마을 제사, 돌의례, 장례의사까지 그림,사진과 함께 보여주고 있어서 관혼상제와 관련한 궁금증을 많이 해결해주네요.


 

 

 

 

아이들이 이선비, 혼례를 치르다를 보고 기억에 남는 장면들을 그림과 종이접기로 표현해봤어요.

역시 아이들에게는 혼례가 가장 인상적이었나봐요. 옛날 모습이라고 하니 목욕하고 있는 선녀도 그려주고 각시도 그려줬어요.

딸아이는 책속 이선비가 소녀를 만난 나이인 열 살이어서 그랬을까요! 수줍게 재회하는 두 주인공을 그려줬네요.

칼라풀한 한복을 입은 아이들도 종이접기로 만들어봤어요.

 

지금 우리의 모습에는 자연스럽게 선조들의 풍습이 그대로 묻어있을텐데요. 민속촌과 박물관을 방문해서 직접 살펴보는 것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면 아이들과 함께 예전의 모습을 책으로 함께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