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THE FAULT IN OUR STARS

 

책을 읽었을때 머리 속을 꽉 채우는 느낌을 주는 이야기들이 있는데 이 책이 그랬다.

뭔가 비밀스럽고도 사랑스러운 이야기를 속삭이고 있는 것 같은 소녀가 그려진 책 표지에 뭔가 달달함을 풍기는

이야기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십대의 하이틴 로맨스를 예상하고 책을 들었다가 뒤통수를 그냥 세게 얻어맞고 몇번의 눈물을 흘렸다.

 

이 책의 주인공은 그 흔하디 흔한? 말기 암환자 소녀이다.

딱 암환자, 불치의 병을 앓고 있는 아리따운 소녀의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병마에 허덕이다가

가슴절절한 사랑으로 이어지는 코드를 예상하게 되는데 생각과는 달리 좀더 깊은 '소녀'와 '소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뻔한 이야기로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기에 좀더 신선하게 느껴지는 것 같다.

 

16세 소녀 헤이즐은 말기암환자다. 폐에 문제가 생겼기에 평상시에 다닐때도 꼭 산소탱크를 끌고 다녀야한다.

한껏 멋을 부려도 모자랄 나이에 코밑을 지나 산소탱크로 연결되는 선을 달고 다녀야하는 헤이즐은 불행할 것만 같다.

하지만 헤이즐은 생각보다 당차고 씩씩하고 똑똑하고 나름의 매력을 발산하는 여자아이였다.

비록 몸이 아파 학교에 다니지는 못했지만 스스로 공부해서 대학생이 되었고

'장엄한 고뇌'라는 평생에 간직할 문구를 지닌 책이 있다. 수백번도 더 읽으며 책속의 이야기로 몸의 아픔과 마음의 아픔을 달랜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는 헤이즐이 어거스티스라는 소년을 우연히 만나면서 책을 통해 서로의 마음을 전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이런 면이 참 아날로그의 감성을 불러일으키면서 좀 더 몰입할 수 있었다.

짧은 시간에 사람이 사람을 알아간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인데 이 둘은 서로의 생각을 담고 있는 책들을 서로 교환하고

밤을 세워가며 읽어가면서 말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마음을 전하고 받게 된다.

스마트함을 내세우는 지금의 소년,소녀들이 이런 감성을 느낄 수 있을까?

그런 예전의 향수를 느끼게 하는 요즘과는 전혀 다른 두 이쁜 아이들의 사랑이 마음에 닿았다.

 

헤이즐은 분명 말기암 환자고 아픈 아이다.

하지만 책속에서 환자라는 생각보다는 얼마 남지 않는 생을 멋지게 살아가고픈 이야기를 듣게된다.

아마도 병마에 시달려 아파만하고 그걸 보고 아파하는 이야기만을 담고 있다면 보는 내내 버거웠을거란 생각이 든다.

그 대신에 헤이즐 주변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덤덤하게 들려주는데 더 슬프게 다가오게 만든다.

 

헤이즐을 하루 24시간 따라다니는 엄마. 헤이즐은 그런 엄마가 자신의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얼마 남지 않은 자신에게 매달려 아파할 엄마를 보면 자신이 더 아프다.

그런데 실제로 엄마는 헤이즐 모르게 논문을 준비하고 공부를 하며 자신만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었다.

헤이즐이 알면 자신이 없어진 후의 삶을 준비한다고 섭섭해할까봐 일부러 모르게 한것이었다.

그리고 헤이즐이 갑자기 응급실에 실려가 입원하게 되었을때 말없이 병실앞을 지킨 어거스티스의 모습,

헤이즐처럼 자신도 암으로인해 목숨이 위험한 상태가 되었음에도

평생의 사랑을 위해 소원을 아낌없이 함께한 어거스티스.

헤이즐을 둘러싼 주변의 사랑을 가득 담은 사람들의 모습에 따뜻함도 느끼게된다.

 

헤이즐과 어거스티스는 결론을 알수 없는 '장엄한 고뇌'의 결말을 알아내기 위해

네덜란드로 직접 작가를 찾아 떠나는 여행을 하게 된다.

이곳에서 둘은 영원히 함께할 수 없지만 성숙하진 못하지만 순수한 연인으로서의 한때를 보내게된다.

아주 짧지만 어쩌면 이 짧은 행복함이 더욱 헤이즐과 어거스티스의 사랑을 아프게 기억하게 하는 것 같다.

 

찾지 못한 해답을 둘이서 서로를 도와가며 찾아가는 모습에 조금만 더 힘을 내!라는 응원을 해보지만

안타깝게도 해피앤드의 결말을 보여주지 못했다.

인생이란 뭔가의 해답을 찾아 떠나지만 해답을 찾지 못해도 괜찮다 그저 함께한 추억과 기억들이 있으면 된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사람들은 나를 기억해 줄까? 우린 이 세계에 어떤 흔적을 남길 수 있을까?"

 

사람은 짧건, 길건 언젠가는 생을 마감하게 된다.

어찌보면 그런 의미에서 사는 건 별게 아닐 수도 있다. 언젠가 우리 모두는 죽게되니까.

하지만 살아갈 이유가 있다면 하루라도 더 생의 끈을 놓지 않고 싶어질 것이다.

그것이 '추억',

나와 사랑했던 사람들의 행복했던 기억으로 사람은 사는 것 같다.

그런 기억들을 더 많이 많이 쌓을 수록 더 흔적을 남기고 싶어지는게 아닐까.

 

남겨진 헤이즐....

그녀가 좋아한 결말이 나지 않은 '장엄한 고뇌'의 이야기처럼 끝을 내지 않은 이야기 속의 주인공.

내 기억 속에는 어거스티스와의 소중한 이야기들과 함께 오랫동안 기억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