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발명왕 3 - 합칠수록 밝아지는 빛 내일은 발명왕 3
곰돌이 co. 글, 홍종현 그림, 박완규.황성재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격 대결 과학 발명 만화]

내일은 발명왕

3. 합칠수록 밝아지는 빛

 

 

내일은 발명왕 책을 보고 있으니 제 고등학교 때가 생각납니다.

과학부 동아리 면접에서 똑 떨어졌어요.

벌써 몇십년 전이었지만 과학부에 들어가지 못해 아쉬웠던 기억이 아직까지 생생한데요.

그때도 과학실에서 정말 많은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었던 과학부 동아리가 아주 인기가 많았어요.

왠지 하얀 가운을 입으면 똑똑한 과학자가 된것 같은 느낌이라고 해야할까요?

 

내일은 발명왕 책 속의 아이들의 이야기를 보면 그 때 경험해보지 못한 것들을

새삼 느끼게 되는데요. 과학을 어렵게만 생각하는 아이들이 내일은 발명왕을 보면

과학이 재미있는 것!이라는 걸 느끼게 될 것 같아요.

일상에서 불편한 것을 찾아 새로운 것을 발명해나가는 모습이 참 신기하기도 합니다.

 

전권에서는 빗물이 떨어지지 않는 우산으로 시선을 끌었는데요.

이번에는 '빛'에 관한 발명이야기를 들려주었어요.

 

 


 

사다리가 필요없어도 면장갑이 필요없어도

손쉽게 전구를 교체하는 방법을 생각해내는 아이들.

몇번의 시행착오를 거치지만

내가 느낀 불편을 마인드맵으로 그려보고 차근차근 문제점을 풀어나가는 모습을 보며

이런 것들을 아이들이 배우게 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기회가 된다면 직접 만들어보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되겠죠.

 

 

 

친구들끼리 함께 힘을 합쳐서 하나의 목표를 향해 협동하는 모습도 눈에 들어옵니다.

요즘 아이들에게 정말 필요한 모습이죠. 자신만 알고 혼자서만 잘하면 된다가 아니라

함께 하고 내가 부족해도 함께하면 뭐든지 이룰 수 있다는 걸 깨닫게 될것 같아요.

 

내일은 발명왕의 학습만화에는 학교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면

중간 중간 주제에 관련된 과학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어요.

 

집에서도 탐구할 수 있는 실험들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샤프심으로 만든 전구, 전기 저항을 이용한 스티로폼 절단기 만드는 방법도 알려줍니다.

집에 전지 끼우개, 집게 전선이 있으면 정말 다양한 실험을 해볼 수 있겠어요.

조만간 이런 준비물들을 구입을 꼭 해서 책속 실험들을 직접 해봐야겠습니다.

 


 

세상을 바꾼 발명품에서는 전구를 발명한 에디슨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어요.

인류의 밤을 밝혀 준 전구의 발명은 1808년 영국에서 시작되었다고 해요.

당시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는 두개의 탄소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 빛을 내는 아크등을 발명해냈어요.

하지만 빛이 지나치게 강하고 전극이 빨리 타 버려 실용적이지 못했죠.

이를 보안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애썼는데 그 중에 에디슨과 스완이 실용화에 성공했어요.

전구!하면 에디슨이었는데 처음 발명한 것은 아니었네요.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화 시킨 것이 에디슨이었다는 걸 알게됩니다.

요즘도 전구는 계속 진화를 합니다.

그냥 빛을 내는 전구에서 살균과 냄새까지 제거하고 식물재배, 물리치료까지 쓰인다니

앞으로 어떤 새로운 전구들이 탄생할지 궁금해집니다.

 


 

학습만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또 "실험키드"인 것 같아요.

내일은 발명왕 3의 발명키트는

태양의 그림자를 이용한 해시계와 간이 고도계 만들기에요.

일반적으로 해시계하면 앙부일구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발명왕 실험키트의 해시계는 나침반도 있고 훨씬 더 쉽게 시간을 볼 수 있어요.

 


 

흐린 날이나 실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요.

요즘 비가 주룩주룩 많이 내려서 실제 활용을 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쉬워요.

 


 

만들기는 정말 간단하고 쉬워요.

뭐 사진 찍을 겨를도 없이 아이 혼자서 뚝딱 만들어버렸어요.

이제 곧 여름방학인데 해쨍쨍할 때 해시계+ 간이 고도계 들고 나가서 실험해보고

학교 과제로 활용해봐야겠어요.

어떻게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지 무척 궁금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