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화홍련전 ㅣ 빛나는 우리 고전 그림책 시리즈 1
강벼리 글, 한태희 그림, 권순긍 자문 / 장영(황제펭귄)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요즘 인문고전에 대한 관심들이 늘어나면서 우리 나라의 옛이야기들도
평소보다 더 많이 접하게 되는 것 같아요.
"고전에는 옛사람들의 삶이 배어 있습니다.
우리 고전문학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 오며 옛사람들의 생각이 담겨 그릇입니다."
제가 아이들에게 우리 나라 전래 동화도 많이 봐야한다고 하니
아이들이 왜 그래야하냐고 물어옵니다.
화려하고 이쁘고 눈을 사로잡는 동화책들 속에서 우리 나라 전래동화가
주목받기란 더더욱 어려워지는 것 같아요.
좋은 것은 알지만 아이에게 딱히 어디에 어때서 좋다!라고 쉽게
설명해주지 못해서 참 안타까울뿐이라죠.
크면 정말 저절로 알게되는 것이 전래동화의 매력인 것 같습니다.

아이가 초등학교 3학년이 되니 호랑이와 곶감처럼 동물들이 나오는 전래동화말고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옛이야기들 보여줘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 중에 "장화홍련전"을 만나봤어요.
장화홍련전 책을 보기 전에 딸아이에게 장화홍련에 대해서 아냐고 물어보니
잘 모른다고 하더라구요. 저 어릴때만 해도 전설의 고향!에서 많이 나오던
"사또~~ 으흐흐흐. 억울하옵니다."하는 장면인데 요즘 아이들은 모르더군요.
그만큼 아이들이 옛것을 접하는 기회도 점점 줄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이 책 "장화홍련전"은 새엄마에게 억울하게 모함을 받고 죽임을 당한 장화와 홍련이
귀신으로 나타나 사또에게 원한을 풀어달라고 하는 이야기에요.
책을 보고 마침 한국민속촌에 다녀왔는데요.
책속에 민속촌에서 볼 수 있었던 한옥의 모습들 투호, 포도청등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어서 참 좋았어요. 장화홍련전에 나온 그림들이 우리의 옛모습을
참 담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아이들과 이것도 본거다 이것도~ 하면서 더 재미있게 볼 수 있었어요.


장화홍련전은 첫 부분에는 우리의 정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그림과
예쁜 그림들로 꾸며져 있었어요.

그런데 아무래도 귀신 이야기다보니 아이들이 뒤로 갈수록 무서워하더라구요.
책을 읽어주면서 살짝 너무 잔인한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얼마 전부터 장화의 배가 불룩한 것 같아 계속 지켜봤어요.
오늘 장화가 일어나자 아픈 곳이 없나 살펴보니,
이불 속에 이상한게 있지 뭡니까."
시집도 안 간 처녀가 아기를 낳다니 집안 부끄러움도 그런 부끄러움이 없는거야.
"장화를 빨리 없애서 집안의 수치를 막아야죠."
"부모 몰래 죽은 아기를 낳은 것을 우리가 모를 줄 알았소?
우리 배씨 가문을 더럽힌 누이를 어찌 살려 두겠소. "
호랑이느 장쇠의 두 귀와 한쪽 팔과 한쪽 다리를 베어 먹고는 바람처럼 없어졌어.
어린 아이들에게는 설명해주기 좀 난해한 점들이 있었어요.
하지만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면 이러한 이야기들도 옛날 사람들의 생각과 배경을
미리 배워보고 읽는다면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아마도 아이를 가진 부모입장에서 좀 어둡고 잔인해보이는 이야기들때문에
전래동화를 많이 찾지 않게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 나라 귀신은 서양귀신과는 다르게! 무조건 무서운 존재가 아니라는 점
이유가 있는 귀신, 원한을 가지고 있어서 그것을 풀 용기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점을
아이들이 알고 다른 사람들을 상처받지 않게 배려해야한다는 것도
어릴 적 부터 깨닫게 되길 바래봅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무조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생각들 가문의 수치라고
아버지가 딸을 죽이는 것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생각들을 보며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마 받아들이는 생각들이 나중에 후손들이 보고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되기도 바래봅니다.
자신의 고집만 부릴 것이 아니라 남을 포용하고 생각을 깊이 있게 가지는 자세도 말이죠.
장화홍련전을 접해보지 않은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볼 것을 권해봅니다.

네이버 북카페 서평이벤트를 통해 읽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하였음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