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내라 서른살 - 인생의 새로운 터닝포인트를 꿈꾸는 당신을 위한 메시지
김지연 지음 / 마음세상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힘내라 서른살

- 인생의 새로운 터닝포인트를 꿈꾸는 당신을 위한 메시지

힘들고 외로웠던 지난 시간만큼 더 높고 멀리 비상하리라!

행복은 지금부터다

행복한 서른살을 꿈꾸는 청춘들의 인생 필독서

가만히 앉아있어도 시간은 정말 잘만 가는 것 같다.

내 나이 벌써 서른을 넘어 반을 보내버렸다.

힘내라 서른살!이라는 제목을 보면서 아 나도 저때가 있었는데... 라는 말이 절로 나오게 된다.

20대는 무모한 도전과 희망으로 잔뜩 부풀어있는 풍선같은 존재인 것 같다.

부풀고 부풀다가 30대가되면 바람이 조금씩 빠지기도 하고 빵!하고 터지기도 한다.

20대의 좌절과 아픔은 30대의 성공으로 이어진다고 하는데

뭐하나 제대로 이뤄놓은 것 없이 안주하는 삶만 살고 있는 나에게 이 책은 뾰족한 칼을

들이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뭐하고 살았을까? 삼십대의 반을!!!

20대의 꿈~ 열정~등을 어느 순간 묻어버리고 아이들만을 보며 아이들을 위해 무던히 살아왔던 삼십대.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보질 못했던 것 같다.

그래야하는 줄만 알았고 다들 그렇게 산다고 믿었다.

하지만 30의 중반에 돌아보면 다들 그렇게 살지는 않았던 것 같다.

20대의 꿈을 펼친 사람들, 자신의 자리를 잡고 이른바 프로페셔널한 일을 하게 된 사람.

이제 아이들도 자라고 나의 길을 찾아야하는 시기가 오는데 두려움이 앞선다.

그런 두려움이 아마도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20대의 정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30대를

어영부영 맞았기 때문인 것 같다.

20대, 30대를 바로 딱 갈라놓으면서 정의를 내릴 필요는 없겠지만

살면서 확실히 20대와 30대는 다름을 느낀다.

30대 초반일때 나는 아직도 20대의 청춘이다~라는 아쉬움으로 20대의 끈을 놓지 못했던 것 같다.

이 책은 서른이 된 사람에게, 아직 20대의 미련을 버리지 못한 사람들에게 제대로 정리할 마음정리를

해주고 있다.

20대일때의 "나 자신과 만나는 일"에서 30대가 되서 '타인을 위하는 일'

그리고 그 뒤의 삶을 위한 '보다 나은 우리로 나아가는 일' 이렇게 세파트로 나눠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왜 이세상은 내가 없어도 잘 돌아가는 것일까!

라는 질문을 정말 30대 들면서 엄청 많이 나에게 던진 질문인 것 같다.

나에 대한 가치를 생각해보고 나는 어떤 사람일까라는 생각에 빠지게 되고.

내가 과연 뭘 할 수 있을까라는 자괴감에 떨어지기도 한다.

20대는 펄펄 뛰는 물고기같았다면 30대의 현실은 푸른 바다가 조그마한 어항이라는 사실을

확! 깨닫게되는 시기인 것 같다.

삶의 허무함도 느껴지는 시기.

내가 죽어도 누군가 잠시 슬퍼는 하겠지만 없어져도 세상은 잘만 돌아가는 존재.

참 서글퍼진다.

그래서 뭔가 새로운 것을 찾아 열정적이 되기보다 안락하고 아무일 일어나지 않는 삶에

목표를 두고 무난하게 살아가는 것 같다.

이십대가 끝나는 시기에 서른이 되면 다들 여행을 떠나라고 말한다!

그것도 홀로 자신만의 삶을 돌아보는 긴 여행을 떠나보라고 말이다.

아쉽게도 나는 그 시기 결혼을 하고 아이를 키우느라 제대로 된 서른의 기념을 하지 못했다.

무작정 떠나는 여행이 주는 기쁨을 맛보지 못했다. 아쉽게도......

누군가 이 책을 보는 서른!이라면 꼭 자신을 돌아보는 서른의 기념 여행을 떠나라고 권해본다.

이 책은 이런 아쉬움과 후회를 가진 내게 또 다른 위안을 주기도 한다.

"당신은 스스로 행복해짐으로써 당신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에 대한 감사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비록 당신 없이도 이 세상은 잘 돌아가겠지만, 당신의 선택과 결정이

누군가를 행복하게 할 수도 있다. 당신은 수많은 사람의 노력에도 결코 완벽할 수 없는 이 세상에서

한 줄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


이제는 내 행복만을 보고 살아왔다면 20대 후의 삶은 나 하나만의 삶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눈을 돌리는 삶을 살아야한다는 것을 또 한번 배운다.

20대에 깊은 내 성찰을 하지 못하고 나를 사랑해보지 못했던 나는 어물적거리며 다른 사람에게도

눈을 제대로 돌리지 못하고 있던 것 같다. 그래서 20대의 마무리가 필요한 것인가보다.


아이들을 보면 아주 작은 것에 웃고 행복해한다.

자기가 먹고 싶어하는 맛난 아이스크림하나면 세상 부러울 것이 없다!

하지만 어른!이라는 명칭을 달고나면 그때부터 행복의 욕심은 끝도 없어지는 것 같다.

이거 하나 가지면 저가 하나 가지고 싶어지고.

행복을 만끽하고 느끼질 못하고 다른 것에만 눈이 간다.

내가 가지기 못한 것에대한 것에 욕심만 늘어간다.

이 책에서는 지금가진 행복에 대해서 충분히 만끽하기를 권한다.
긍정의 코드~가 30대가 되서는 정말 중요한 것 같다.

나는 왜 이렇게 사는걸까보다. 내가 이만큼 살아있음에 행복해야겠다.


"서른살, 당신에게 무모한 도전을 하라는 것이 아니다.

당신이 식어버린 당신의 가슴을 데울 수 있는 방법은 당신이 당신의 일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방법뿐이다. 당신은 지금 하고자하는 목표를 잃지 말고 이루어내라."

서른 살에도 나만의 꿈과 목표가 있어야한다는 것을 느낀다.

가만 생각해보면... 이렇다할 나만의 꿈과 목표가 없는 것 같다.

그래서 내 마음이 이렇게 허전하고 허무함을 느끼는가보다.

30대의 삶을 충만하게 해줄 도전! 일!이 내게 필요한 것 같다.

이 책 서른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는다.

책을 읽으라는 조언이 특히 눈에 들어왔는데 어릴 적 왜 그렇게 읽으라 읽으라해도 귓전으로 흘리던 말이

이제야 마음에 들어온다. 정말 닥쳐야 경험을 해봐야 깨닫게 되는 진실이 아쉽기만하다.

서른!

나이만 먹었다고 어른이 되지는 않는다.

아이를 낳았다고 다 부모가 되지는 못하듯이...

나는 늘 20대 청춘인 줄 알았다. 하지만 거울을 보면 또렷해진 팔자주름사이로 흘러간 세월을 속일 순 없다.

하지만 마음만은 안티에이징!하라는 저자의 말에 두손 한번 불끈해본다.

30대의 중반을 걷는 나는 30대 초반이 된다면 정말 못할 것이 없을 것 같다.

다시 돌아가도 뭐 별반 다를 것 없는 삶을 살 것 같지만.. 마음만은 그렇다.

지금을 현명하고 당차게 사는 수밖에!!

30대가되면 나를 돌아보는 것을 넘어 남을 생각하는 삶을 살아야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외로운 1등은 별로 의미가 없다. 미움을 버리고 사랑의 마음을 가질 때 우리는 정말 행복해질 수 있다고 한다.

살아가면서 미워하지 않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 같다.

나도 정말 치를 떨정도로 미운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것들을 다 내려놓으라고 한다. 그래야 진짜 30대를 맞이할 수 있다고.

30대를 반이나 써먹은 나는 아직 그런 삶을 살지 못한다. 정말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제대로 사는 삶을 위해 기를 쓰고 노력은 해봐야겠다.

그리고 눈에 띄게 많이 강조하는 것은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다.

서른! 결혼을 앞두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서인지 남자와 여자에 대한 이야기.

연애에 대한 이야기, 상대를 잘 바라보는 식견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고 있다.

나쁜 남자,나쁜 여자를 알아보는 방법과 그들을 대하는 방법!까지.

마누라~라는 존재가 되어서도 긴장을 늦추지 않는 삶을 살라고 말한다.

아! 나는 이미 늘어난 츄리닝패션으로 살고 있는데...

남편의 충성어린 애정은... 그냥 얻을 수 없는 것이었나보다.

서른 살을 맞이하는 20대의 끝자락을 안타깝게 쥐고 있는 사람들에게

삼십을 훌쩍 넘어 사십대를 달려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삼십대를 어영부영 흘려보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저자는 현재를 살펴보고 20대를 제대로 한번 마무리하게 하는 기회를 준것 같다.

"서른살, 우리는 행복과 좀 더 가까워져야 한다."

저자의 이 말이 계속 마음을 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