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가 되는 한국대표고전 1 공부가 되는 시리즈
글공작소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가 되는 한국 대표 고전 - 아름다운 사람들







다음 주에 큰아이 학교에서 "독서퀴즈"대회를 하는데요. 대회의 책들이 우리 전래 동화가 대부분이더라구요.

평상시에 전래동화보다는 명작이나 창작을 더 좋아하는 아이들에게 더 다양한 책을 보게 하려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아이들이 억지로! 들이민다고 책을 보는 건 아니니 그게 제일 걱정이에요.
어릴 적부터 우리 전통 이야기를 많이 접해야 고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텐데 그러질 못했던 것 같아요.
제가 먼저 책소개에 있는 고전을 쓱~ 보는데 "구운몽","국선생전"등 제대로 읽어본 우리 고전이 하나도 없었어요.

학창 시절 국어시험을 풀기 위해 시험지에 나온 지문정도... 전문을 읽어볼 기회는 전혀 없었네요.

아니 그럴 생각도 못하고 있었던 것 같아요. 짧은 지문을 통해 외우고 단편적인 이야기를 아는 것보다

원문을 다 읽어서 전체적인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텐데요.

그때는 책읽기는 물론이거니와 이런 기본적인 사실도 미처 몰랐던 것 같아요. 외우기에 급급했지요.



우리 딸아이게는 좀 더 재미있는 고전을 만나게 해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더 이 책을 찾게 되는 것 같아요.

아이와 같이 읽으면서 우리것에 대한 재미를 알아가면 참 좋겠단 생각이 들어서 "공부가 되는 한국대표 고전"을 보았답니다. 특히 초등학교에 나오는 고전들로 교과과정과 연계가 되어있다고 해서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게 되었어요.

아무래도... 학교 수업과 시험에 전혀 관계가 없는 것들! 보다는 조금이라도 관계되는 것에 눈이 돌려지고 마는 엄마예요.



공부가 되는 한국대표 고전은 2권으로 구성되어있어요.

교훈이 깃든 의인화 서설, 남녀 영웅들이 이야기, 조선 여성의 빼어난 문학, 풍자와 해학이 깃든 소설 - 1권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이야기, 한문으로 쓰인 고전문학, 판소리계의 대표 소설 - 2권

단군신화에서 양반전, 춘향전, 심청전, 인현왕후전, 구운몽, 국선생전등 국어교과서에서 한번쯤 들어봤을

그런 이야기들이 담겨져있어요. 테마별로 나눠져 있어서 아이들이 기억하기 더 좋을 것 같아요.

예전 시험에 판소리계의 대표소설이 아닌것은?이라는 질문의 국어시험 문제가 아직도 생각이 나네요.

<춘향전, 토끼전, 흥부전, 심청전> 정답~

이 책을 다 읽은 아이들은 아주 쉽게 머리속에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기억 될것 같아요.

교훈이 깃든 의인화 소설인것은?이란 문제도 생각이 나네요.

<공방전, 국선생전> 정답~

무슨 내용인지도 제대로 모르고 제목만 얼핏생각납니다.



글밥이 많은 편이라서 저학년들의 아이들은 쉽게 다가가지 못할 수도 있는데요.

이 처럼 목차를 살펴서 교과서에 나오는 책이라던가 아이가 흥미로워하는 부분을 골라서 천천히

흥미를 두게 해서 읽게 해줘도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여러운 낱말은 한쪽에 설명을 해주었구요. 더 자세하게 알아야할 정보는 색깔 상자에 넣어서

다시 한번 살펴볼 수 있도록 해주었어요. 고전 1편당 많게는 10장 이상 짧은 것은 두세장의 분량이라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아도 고전을 금방 전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아요.



허 씨의 눈은 싸구려 방울 같았고, 코는 대충 흙으로 만든 병 같았으며, 입은 메기를 닮아 그 주둥이를 썰면

열 사발이나 나올 것 같았어요. 또한 머리털은 돼지 털 같았고, 키도 멋없게 컸으며, 허리는

절구통처럼 굵었고, 다리는 퉁퉁 부어 있었어요. 얼굴에는 마마 자국이 콩 멍석처럼 덕지덕지

나 있었으니 허 씨의 얼굴을 똑바로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이 없었어요.

.......

" 너희들처럼 나도 네 어미가 보고 싶구나."

그럴수록 허 씨의 질투는 점점 심해졌어요. - 장화홍련전 중



제일 좋은 것은 어렵게 느낄 수 있는 고전!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고

그냥 동화한편을 보는 듯이 편안하게 읽을 수 있게 쓰여있다는 점이네요.







점점 흥미를 잃어가는 우리의 것에 대해 아이들이 이런 책을 많이 접해서 흥미가 생기고

고전의 맛을 알고 원작을 찾아서 읽고 싶게 되길 바래봅니다.

우선 저부터 실천해야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