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가 ㅣ 스토리콜렉터 46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16년 8월
평점 :
+
미쓰다 신조의 '집' 시리즈 3부작 중 하나인 <흉가>를 읽고 미쓰다 월드에 입문하게 되었는데, 이번엔 <화가>를 읽게 되었다. 국내엔 <흉가>가 먼저 출간되었지만 실제 출간 순서는 <화가>가 먼저이다. 한자의 뜻을 살펴보면 <재앙이 내린 집>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한날한시 교통사고로 부모님을 여읜 코타로는 할머니와 함께 낯선 지역으로 이사 오게 된다. 그런데 자신이 살 집과 마을의 모습을 본 순간 묘한 기시감을 느낀다. 더불어 옆집에 살고 있는 괴상한 노인은 "꼬마야 잘 다녀왔니?"라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말을 건네기까지 한다. 어렸을 적 꾸었던 악몽이 생생하게 되살아나는 느낌과 함께 코타로는 집과 마을을 둘러싼 숲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섬뜩한 존재와 마주하게 되고 쫓기기까지 한다. 근처에 살고 있는 동급생 '레나'를 통해 마을을 안내받던 중 코타로는 자신이 경험했던 섬뜩한 일들을 레나에게 고백한다. 그러자 레나는 코타로의 집이 마을의 유명한 유령의 집 중 하나임을 이야기해 준다. 코타로는 레나와 함께 마을 도서관에서 자신의 집과 마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조사해 보기로 한다. 그리고 발견하게 된 10년 전 그날의 이 마을, 이 집의, 연쇄 살인에 대한 기사를 읽던 중 코타로는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되는데…….
책을 읽는 동안 어렸을 적 어떤 기억 하나가 떠올랐다. 당시 나는 코타로와 마찬가지로 초등학생이었다. 아버지가 군인이셔서 군인 아파트에 살고 있었는데, 집에 아무도 없었던 것 같다. 저녁 무렵 아무도 없는 집에 혼자 들어가기가 무서웠던 나는 아파트 후문을 지키는 군인 아저씨와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군인 아저씨는 지금 집에 들어가면 '달걀귀신'이 있을 거라고 얘기를 했었다. 당시 어린 나를 놀리기 위해 장난으로 한 말이었겠지만, 그때의 나는 그 말이 너무도 무서웠다. 아저씨의 말과 함께 저 너머 불 꺼진 우리 집 창문을 몇 번이고 쳐다봤던 기억이 아직도 뚜렷하다. 어둠 속에서 웅크리고 있을 달걀귀신의 존재가 어린 내 머릿속을 휘저어 놓고, 내 마음을 불안과 두려움으로 가득 채웠었던 그 시절의 기억. 그 뒤 내가 어떻게 집에 돌아갔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그 순간의 공포와 불안을 나의 뇌가 아주 특별한 기억으로 보관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기억하고 있는 것을 보면...
저 집에 돌아가는 것이, 그것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해 질 녘에 돌아가는 것이 싫었던 거야……. <165p>
미쓰다 신조의 집 시리즈는 마지막 3부작 하나만을 남겨두고 있는데 <흉가>, <화가>의 주인공은 모두 어린 소년이다. 일단 물리적으로 성인이라면 집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 불가해한 공포를 어린 소년에 비해 쉽게 벗어날 수 있겠지만, 어린 소년의 경우는 쉽게 벗어날 수가 없다. 또한 심리적으로 그 나이의 소년이 느끼는 공포의 존재를 대부분의 어른들은 믿으려 하지 않는다. 아이와 어른의 경계 선상에 서 있는 소년이라는 존재는 어린아이처럼 아주 미숙하진 않지만, 아이처럼 순수하게 공포를 느끼고, 보고, 믿을 수 있는 존재이다. 또한 어른처럼 보이지 않는 존재를 불신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이성적이고, 합리적으로 무엇인가를 판단하기도 어려운 유약한 존재이기도 하다. 즉, 아이처럼 순수하게 단단하지만 또한 그만큼 부서지기 쉬운 투명한 유리 같은 존재. 그것이 미쓰다 신조가 어딘가 불안정하면서도 유연한 '소년'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 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범인이 밝혀졌을 땐 전혀 예상치 못한 인물이어서 다소 놀라긴 했지만, 그 의도가 이성적으로 이해가 안 되어서 다소 억지스럽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으나, 세상천지 논리적으로, 이성적으로 가장 이해하기 힘든 존재가 또한 인간이라는 생각에 씁쓸한 마음으로 수긍을 하기도 했다. 다만 <흉가>의 주인공 쇼타와는 달리 코타로는 해피엔딩으로 끝나나 싶었는데, 역시나 복선(OOO를 책상 서랍에 집어넣을 생각)과 함께 마지막 반전은... 끝나지 않음을 암시하며 막을 내린다.
텅, 텅, 텅…….
집이 울리는 듯한 소리가 온 집 안을 흔든다.
착, 착, 착…….
기분 나쁜 소리가 계단을 올라온다.
탁, 탁, 탁…….
자신의 발소리가 들린다.
ps.
<미쓰다 신조의 가장 무서운 점은 의태어를 활용해
상상력을 자극하는 공포라는 것이다. 지금 이 글을 쓰는 나도 방 안에서 들리는 작은 소리들에
흠칫흠칫 놀라곤 한다. 득, 득, 득. 슥, 슥, 슥.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