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 BOOn 1호 (창간호) - 2014년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 편집부 엮음 /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월간지)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에서 출범하는 '일본문화 및
문학전문잡지' BOON은 '유쾌한'이라는 뜻을 가진 말로 '文化'의 일본어 음독인 '분카'에서 '분(BUN)'이라는 발음만 차용하여 표기한
것이라 한다. 따라서 BOON은 '유쾌한 일본문화 읽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일본의 문화에 굉장히 관심이 많지만 그 광범위하고
다양한 일본의 문화들을 체계적으로 정리된 도서는 사실 찾기가 쉽지 않은게 현실이다. 그런 상황에서 RHK의 BOON잡지의 출범은 개인적으로 참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창간사에서도 밝히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와 일본이라는 나라사이에 아직 해결되지 않은 그런 역사적 문제들이
많이 남아있기때문에 창간초기부터 적잖이 난관에 부딪히는 것도 사실이라한다. 또 개인적으로도 그들의 문화는 사랑하지만, 가끔씩 그들의 무책임한
언행들은 뭐랄까 분노를 유발케하는 경우가 참 많다. 그러나 지역 평화와 안정을 위해 우리의 이웃인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며 우리 자신을 되돌아보고 이웃을 이해하는 첫걸음은 바로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고 얘기하니, BOON의 그런 창간목적 및 의지는
높게 살만하며 BOON의 바람대로 우리나라와 일본의 활발한 문화적 교류를 통해 양국간의 이해와 평화가 깃들기를 개인적으로도 바라는 바이다.
BOON의 전체적인 목차들을 훝어보면 흥미로운 콘텐츠들이 참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가를 읽다라는 코너에서는 미스터리 및 추리소설의 제왕이라 할 수 있는 '히가시노 게이고'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의 초기 작품부터 최근의 작품까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통해 보다 깊이 있게 히가시노 게이고를 탐구할 수 있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다작을 하는 작가로 유명한데 결코 내용의 질은 떨어지지 않는 다는 것이 신기하다. 아마도 그것이 그의 필력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도 히가시노
게이고를 참 좋아해서 그의 작품들은 대체적으로 읽어보는 편인데, 참 쉬우면서도 재미있게 읽힌다. 분명 하얀 종이에 검은 잉크로 표현된
문자들인데, 읽으면서 그 문자들은 하나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대체된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이 영화나 드라마로 많이 만들어지는 게 아닐까
싶다. 일본작가는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또 좋아하는 작가중에 '기욤뮈소'의 글이 그렇다. 책을 읽고있는데 마치 눈앞에서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
때문에 소위 순수문학이라 할 수 있는 문학의 정점에 있다고 착각하는 일부 사람들은 그런 그들의 글을 때로는 폄하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글은 대중들에게 아낌없는 사랑을 받는다. 그래서 그런지 이분(이민혁)의 마지막 글이 참 마음에 와 닿았다.
QUEEN을
난해하기만 한 비주얼 밴드라고 혹평했던 근엄하신 평론가들은 지금 어디서 뭐하고 계시는지 관심 없지만, 좌우간 그 양반들의 진단이 틀렸음은
명확합니다. '오페라 록'의 정점으로 추앙받는 그들처럼 언젠가 당신도 플롯의 전설로 회자되는 날이 올지도 모르는 것 아니겠습니까. 부디 그때까지
우리를 즐겁게 하는 글쓰기를 멈추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이민혁, 일본
현대문학) 13Page
책도 참 좋아하지만 나는 애니메이션 광팬이기도 하다. BOON의
코너중에서도 가장 애착을 가지고 읽은 부분이 특집 :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라는 콘텐츠부분이다. 그의 초기작품부터 2013.09.06
마지막 은퇴작이 된 <바람이 분다>라는 작품까지 그의 작품세계와 미야자키 하야오 개인의 사상적인 부분까지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강태웅,광운대 교수)의 '응답하라, 1990년대의 미야자키 하야오'라는 글은 최근 유행했던 드라마 응답하라 1994라는 작품이 우리들의
향수를 불러일으켜 큰 파장을 일으켰던 것처럼 미야자키 하야오의 90년대 전성시대의 희망적이고 건강했던 애니메이션을 추억하는 글이다. 강태웅
교수는 그의 마지막 은퇴작 <바람이 분다>는 일본인의 안이한 전쟁관을 그려냄으로써 한국관객에게 철저히 외면당한 작품으로 본인
개인적으로도 기억하고 싶지 않은 작품이라 한다. 김나정의 '종이 위의 놀이터'라는 글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난 일상과 자연에 대해 다룬
글인데 어떤 정치적, 사상적, 이데올로기적 관점없이 그의 작품 어디에나 등장하는 아름다운 자연에 대한 글이다. 마지막으로 영화평론가 김윤아의
'바람이 불고, 사쿠라는 지다'라는 제목의 글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특히 미야자키 하야오는
<바람이 분다>의 주인공인 지로를 통해 본인 스스로의 생각을 담아내기도 했는데, 대한민국 사람으로서 그의 마지막 작품은 사실상
받아들이기 조금은 힘든 부분이기도 했다. 김윤아 역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바람이 분다>의 주인공 지로의 삶을 판단의 무능성과 순전한 무사유라는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그를 전시에 비행기 설계하는 일을 성실하고 책임감 있게 수생했던 근면한 남자로 그려냈지만, 자신이 하는 일이 어떤
의미인지 전혀 깨닫지 못한 지로는 인류에게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아이히만과 같은 잘못을 저지른 것이다. ※ 아이히만 : 유태인 학살
프로그램을 만들고 집행한 인물로 600만 명의 유태인 학살을 위한 나치의 체계적인 작전인 최종 해결책 총책임자였다. 그는 성실히 자신의
일(유태인 학살)을 해나간 근면한 사람이였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신인작가 히구치 유스케의 연재소설 어항,그 여름날의 풍경도
즐겁게 읽었다. 연재소설이라하니 다음호에 등장할 이야기도 궁금해진다. 기획연재 :도시의 기억, 공간의 흔적 (그 많던 신사는 어떻게
사라졌을까), 문학산책, 에세이, 서평, 편집실의 서재 등 문학작품외에 그 작품을 포괄하는 일본의 다양하고도 광대한 문화에 대해서도 조리있게
다루고 있다. BOON한권만으로도 충분히 일본의 문화를 흡수하기에는 충분할 것 같다. 창간호의 출범을 계기로 BOON이 BOOM을 일으켜 활발한
문화교류에 교량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오래도록 역사에 남을 멋진 잡지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마지막으로 글을 읽는 것도 좋아하지만 언젠가
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꼭 글로 써보고 싶은 마음 또한 커서 기쿠치 간의 "소설가가 되려는 젊은이들에게"라는 글도 참 흥미롭게 읽었다. 그는
말한다. '스물다섯 살 미만인 자, 소설을 써서는 안 된다.'고 뭔 뜻인고 했더니 그 나이때에는 자신의 인생관을 제대로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란다. 소설이라는 것이 화려한 기교와 미사여구로 글만 잘 써서 되는 것이 아니라, 적정 나이에 다다랐을때 그 경험과 연륜에서 풍겨져 나오는
철학적, 사유적, 인생의 통찰이 드러났을때 그때 저절로 글도 써진다는 것이다. 오히려 스물다섯 이하의 나이때에는 그저 열심히 자신의 인생을
살라한다. 다소 가우뚱하는 듯도 하지만 곰곰 읽어보면 일리있는 말이기도 하다.
그 어떤
것이든 자기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 같은 것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것이 생길 때까지는 소설을 쓴다고 해도 그것은 한낱 유희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소설을 쓴다는 것은 종이 위에서 펜을 움직인다는 의미가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기 자신을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활하면서
다양한 작가들이 어떤 식으로 인생을 보고 있는 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시 많이 읽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사소하더라도, 아무리 굴절되어 있더라도 자기 자신의 하나의 인생관이라는 것을 세워 나가야 한다. 소설을 쓰기 위해서는 젊은 시절의 고생이 가장
중요하다. 젊은 사람은 인생의 쓴맛을 가득 맛보는 것이 중요하다. 작품의 배후에 생활의 노고가 없다고 한다면 아무래도 인생의 맛이라는 것이
희박해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생활을 해나가고, 그리고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 그것이 바로 소설을 쓰기 위한 수련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아마도 스물다섯 살 이하의 나이에는 작가가 말하는 '인생의
쓴맛'을 보기에는 너무 이른 나이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자신의 인생을 바라보며 생활을 하라는 말은 좀더 인생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좀더
살아본 다음에 그때 소설을 써도 늦지 않다는 얘기일 것이다. 물론 나는 이미 스물다섯이라는 나이를 아주 오래전에 넘어서긴했지만, (나름 인생의
쓴맛을 맛봤다고 생각하지만..) 아직 소설을 쓸만큼의 내공이 덜 쌓인 것 같다. 좀더 많이 읽고, 사유하고, 필사하고, 좀더 다양한 시각으로 내
주변의 사물들을 보는 연습을 해야할지 모르겠다.
말이 길어졌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BOON이 BOOM을
일으키길!!!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