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밥은 누가 먹었을까? 책고래아이들 43
김형미 동시집, 솜보리 그림 / 책고래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김형미 작가님의 <고양이 밥은 누가 먹었을까?> 동시집을 읽는 때 예전 국민학교 때가 생각났다. (라떼는 국민학교였음;) 친구들과 운동장에서 작은 소녀 그림을 그리고 놀고 있었는데, 곧 수업 종이 울렸다. 교실로 들어가기 앞서 혼자 남을 소녀가 걱정도 되고, 배도 고플까 봐 옆에 밥솥을 하나 그리고 밥솥 안에는 솔방울 잎을 하나씩 따서 채워 놓았다. 수업이 시작되었지만 계속 소녀가 걱정이 되어 끝나는 종소리와 함께 운동장 밖으로 급히 달려나갔더랬지.

그런데 정말 소녀가 밥을 먹었는지 밥솥 안에 채워 놓았던 솔방울의 잎들이 하나도 없는 거다. 바람에 날아갔다면 근처 어디 한두 개 정도 있었을 텐데. 그리고 솔방울 하나도 아니고 그걸 하나씩 따서 채워 넣었던 거라 누가 주워가기조차 버거웠을 테고. 그때 함께 만들었던 친구와 함께 진짜 소녀가 이걸 먹었나 봐! 놀라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고, 기분이 좋기도 했던... 그 시절이 떠올랐다. 작가님의 동시집 제목처럼 궁금증을 자아냈던 시절의 추억.

정말 고양이 밥은 누가 먹었을까? 어릴 적 집 앞동산은 제일 멋진 놀이터였다고 한다. 풀숲에서 숨바꼭질 놀이, 땅따먹기 놀이를 하다 해가 꼴딱 넘어가면 친구들과 헤어지고 다음날 또 만나서 놀고 ㅎ 소꿉놀이한다고 이름 모를 꽃을 찾고, 나무 열매를 따서 상상 밥 함께 먹으며 아플 때 위로해 주고, 도와주면서 그렇게 어린 시절 덕분에 동시 꽃을 피울 수 있었다고 하신다.

얼마나 마음이 순수하고 투명하신 분인지 알 것 같다. 자연 안에서 놀이감을 찾고, 발견하면서 자연이 주는 경이로움 속에 어린이 마음처럼 순수하고 따뜻함을 발견하셨다니. 나 역시 80년대, 90년대 어린 시절을 보냈던 터라. 지금에 비해 놀이터나 숲에서 놀거리가 참 풍부했었다. 지금은 스마트폰, 컴퓨터에 아이들이 너무 빨리 노출이 되고 나의 어린 시절 감성을 잘 느낄 순 없을 거란 마음에 뭔가 안타까움도 든다. 그러니 감성도 감수성도 발달하지 못하게 되고, 아이와 같은 마음은 너무 일찍 잃어버리게 되는 것은 아닌지....



그렇기 때문에 요즘 아이들은 더더욱 동시를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다움을 오랫동안 간직하기 위해서라면 말이다. 김형미 작가님의 동시도 동시지만 솜보리 작가님의 그림이 눈에 들어왔다. 냥이의 봄, 마음 예보, 키 크는 꿈 등 작가님의 글에 걸맞게 예쁜 그림들로 채워진 동시. 내 나이 불혹을 지나 반백년을 향해 가고 있는데 어린 시절의 시간과 꿈들은 마치 엊그제처럼 생생하다. 다시 돌아가고 싶은 마음도 들지만 어쩌면 다시 돌아갈 수 없는 날들이기 때문에 더 그립고, 더 애잔하고, 더 추억하게 되는 건가 보다.

따뜻한 봄날 해바라기를 하는 고양이의 나른한 모습, 놀이터에서 친구들과 웃으며 함께 노는 아이들의 웃음, 똥방귀를 뿡뿡 뀌어대는 아이들의 유쾌한 웃음소리, 맑은 하늘을 향해 재잘재잘 노래하며 떼 지어 날아가는 새들의 모습. 자연과 어린아이들이 줄 수 있는 풍경이 이 동시 집에 가득 담겨있다.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어린 시절이지만 동시를 읽으며 나의 어린 시절을 반추해 본다.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고양이밥은누가먹었을까, #김형미동시집, #솜보리그림, #책콩서평, #도서리뷰, #동시집추천, #어린시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