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 숲속의 우드 와이드 웹
수잔 시마드 지음, 김다히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인간이 나무를 심고, 나무가 인간을 구원한다>라는 문장과 함께 감명 깊게 본 영화 <아바타> 영혼의 나무에 영감을 준 책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는 캐나다 산림학과 삼림 생태학 교수 수잔 시마드의 저서다. 책을 읽기 전까지 나무는 나무고, 나무가 무리를 이루면 숲이 된다는 단순한 생각만 갖고 있었다. 아마 보통의 사람들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으리라. 수잔 시마드는 나무와 나무, 나무 개체와 숲 전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와 오래된 숲에는 존재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나무들은 탄소나 질소 같은 영양 물질에서부터 신경 전달 물질까지 전달한다는 것도 오랜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바로 이끼나 곰팡이 같은 진균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우리 인간 역시 월드 와이드 웹, 즉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인간 혹은 동물, 곤충 종류만이 이러한 네트워크로 의사소통을 한다고 생각했다. 식물은 그저 묵묵히 한자리에서 살아가는 존재로 말도 할 수 없고, 소리를 낼 수 없는 존재기 때문에 특별한 네트워크를 이룬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나무들이 뿌리와 진균 등의 균사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탄소를 주고받으며 서로 속삭인다는 사실. 그 중심에는 바로 어머니 나무가 있는데, 가장 오래된 나무로 이를 '허브'라 한다. 자식 세대의 나무들은 '노드'라 한다. 즉 허브를 중심으로 수많은 노드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숲 전체의 성장과 재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만 인간의 이기심과 욕심으로 무분별한 벌목으로 어머니 나무가 베어지면 숲 생태계는 커다란 혼란을 맞게 된다. 발목을 통해 얻은 잠깐의 편리함과 유용함은 인간에게 엄청난 재앙으로 다가올 것이다. 아니 이미 진행 중이겠지. 결국 지구 온난화를 비롯해 토양은 사막화되고, 오늘도 미세먼지는 엄청난 기세로 온 도시를 휩쓸었다. 나무가, 숲이 곁에 있다면 어땠을까? 만약 인간의 네트워크가 파괴된다면 어떨까? 여러 가지로 엄청난 혼란이 발생할 것이다. 누군가에 의해 중심 허브가 끊긴다면. 수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인간이 무슨 이유로 숲의 네트워크를 파괴할 권리가 있단 말인가? 그 재앙은 고스란히 우리에게 돌아올 것이 자명한데도.

저자의 연구를 통해 나무들이 가지고 있는 놀라운 비밀들이 하나씩 밝혀지면서 읽히는 이야기는 신비롭고 경이롭다. 나무들이 서로 속삭이고, 공존하며, 나누고, 돌보는 것들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 신기하게도 우리 인간이 아이를 기르는 것처럼 어머니 나무는 어린 나무들을 양육하고 영양을 공급하며 또 어떤 묘목이 자신의 친족인지 아닌지 구별한다고 한다. 숲속 네트워크 상호작용의 중심에는 바로 오래된 나무, 어머니 나무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숲을 걷다 보면 굉장히 크고 웅장한 나무를 보게 될 때가 있다. 바로 그 나무가 어머니 나무다. 우리 조상들은 그런 나무를 함부로 하지 않고, 마음을 지키는 수호수라 여겨 귀중히 여기기도 했다.

그런데 교통에 불편이 된다고, 시야를 가린다는 다소 이기적인 이유로 어머니 나무를 아무런 생각 없이 자르는 인간들. 비록 소리를 지를 순 없지만 나무 스스로 얼마나 큰 비명을 질렀을까. 인간에겐 결코 들리지 않는. 나무들 역시 인간의 신경 전달 물질과 같은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비밀스러운 대화를 이어간다고 한다. 영화 아바타를 보면 거대한 나무가 있다. 그 나무를 향해 절을 하고, 거기서 힘을 얻는 나비족의 모습을 얼마나 경이롭게 보았던가. 바로 이 책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라 한다. 그런데 그런 나무의 역할을 하는 것이 현실에도 있었다니. 왜 생각하지 못했을까? 동물에게도 있고, 사람에게도 있는 어머니라는 존재를. 왜 식물에는 나무에는 없다고 생각했던 것일까? 무지와 용납할 수 없는 이기심이 숲을 죽이고, 결국엔 인간에게 커다란 재앙을 내릴 것이다. 이제라도 나무를 숲을 보호하고, 이전과는 다른 관점과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인간이 환경의 재앙으로부터 살아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일 것이다.

"신경 연결망과 균근 연결망은 둘 다 시냅스 너머로 정보 분자를 전달한다." -385page

"숲과 초원이, 대지와 물이, 하늘과 땅이, 영혼과 육신이, 인간과 모든 다른 생명체들이.

우주의 모든 것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 470page

.

.

.

#어머니나무를찾아서, #수잔시마드, #사이언스북스,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