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본 적 없던 바다 - 해양생물학자의 경이로운 심해 생물 탐사기
에디스 위더 지음, 김보영 옮김 / 타인의사유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개인적으로 신비롭고 미스터리한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그 영역이 과학이라면?

뭔가 더 흥미롭고 재미있을 것 같지 않은가? 그렇게 순전히 내 취향대로 선택한 책

<아무도 본 적 없던 바다> 일단! 표지부터 신비롭다!

심해에 살고 있는 생명체는 책이나 여러 매체를 통해 보았을 뿐 실물로 본 적은 없다.

초롱불을 연상시키는 초롱 아귀, 긴 다리가 있어서 걸어 다니는 물고기

몸속이 다 보이는 물고기들. 분명 심해에 살고 있는 생명체들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물고기들과는 상당히 다른 비주얼을 자랑한다.

그럴 때 느끼는 호기심과 흥분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해양생물학자이자 인기 TED 강연자인

에디스 위더는 고통스러웠던 아픔을 경험했다가

기적적으로 회복되면서 빛의 힘에 매료되어 심해를 탐험하기에 이른다.

나 역시 여러 백과사전을 보면서 심해의 생물들에게 신비로움과 호기심을 느꼈지만

그것이 탐험으로 까진 이어지진 않았다. 일단 물을 무서워하기에 ^^;;

심해는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심해 속 생물들을

스스로 발광을 한다. 에디스 위더는 발광 메커니즘의 비밀을 추적하고 심해용 수중

카메라와 표준 조도계를 개발했으며 대왕오징어를 최초로 영상에 담기도 했다.

어렸을 적 심해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이 지구의 심해라는 미지의 세계를

한 발짝 더 가까이 인류 앞에 선보인 저자의 도전과 용기에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가끔 그런 생각을 했다. 지구를 넘어 인류의 시선이 우주로

확장되는 것을 보면서 광대하고도 광활한, 정말 끝이 있긴 한 것인지 모를 우주에 대한 인류의 탐험과 끝없는 도전이

왜 바닷속으로는 향하지 않는 것일까? 분명 우주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바다는 극히 작은 먼지에 불과할지도 모르지만.......

그러나 실상은 아직 가 보지 못한 바닷속의

광대한 영역이 지금까지

인류가 탐험한 모든 영토의 몇 배에 이른다.

우리는 심해가 얼마나 놀랍고

신비하고 경탄스러운 곳인지 몰라서 심해에

관심을 두지 않지만,

그곳을 탐험해 보지 않고서는 얼마나 경이로운 곳인지 알 수가 없다는 모순에

빠져 있다. 그 안에 무엇이 있는지 알지도 못한 채

바다를 파괴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라도, 이 상황을 더 두고 볼 수 없다.

어렸을 때 제임스 캐머런이 연출한 영화 <어비스>가

아직까지도 인상 깊게 남아있다.

(정체불명의 물체에 의해 잠수함이 침몰되며, 수색하는 과정에서

생명체가 살지 않는 심연에 빛을 내며 지나가는 정체불명의 수중 생물을 발견한다는 내용!)

아마 그때부터 나 역시 심해라는 미지의 세계에 매료되었던 것 같다.

다가가고 싶지만 다가갈 수 없기에 영화나 책등으로 간접적으로 심해에 대해 탐미했던 것 같다. 그런데 이 책 역시

제임스 캐머런 감독이 강력 추천했다고 하니, 안 읽어볼 수가 있겠는가!

이 책은 마치 햇빛이 따스하게 비치는 해변가에 앉아 있는 나를

푸르다 못해 어둡고 깊은 바닷속으로 점점 끌고 들어가 두려움을 느낄

찰나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눈부신 빛의 세계로 인도하는

여정처럼 느껴진다.

눈으로 볼 수 없는 야광충, 거대한 훔볼트 오징어 등 스스로 빛을 내는

다양한 해양생물과 그들의 여러 행동양식에 대한 비밀을 파헤치는데,

심해에 대한 나의 지적 호기심을 충분히 충족시켜준다. 다만 아쉬운 것은 책 중간중간에라도 컬러 내지로 해양생물들의 실사 모습이 담긴 사진이 있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기도 했다.

그러면 책을 보는 재미가 더 컸었을 텐데 말이다.

와.. 정말 얼마나 신기하고, 다채롭고, 희한하고, 이상하고

독특한 생명체들이 심해라는 환경에서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에디스 위더 본인조차도 본 적 없던 바다가 아직 앞에 남아 있겠지...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