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첫 인문학 사전 - 엄마랑 아이랑 나란히 앉아 읽는
김종원 지음 / 청림Life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최근 문해력이 굉장히 중요한 단어로 떠오르고 있다.

문해력의 바탕에는 다독과 다상량이 있을 것이다.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는 것. 내 아이가 인문학적 소양을 가진

아이로 성장한다면 부모로서는 굉장히 뿌듯할 것이다.

청림라이프에서 출간된 김종원 저자의

<우리 아이 첫 인문학 사전>은 부담없는 두께와

다양한 어휘를 통해 글을 읽고 생각하기와 낭독하기를 통해 '지성'이 있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이다.

아이는 부모의 영향을 크게 받고, 부모의 말투와 행동을 그대로 모방한다.

나 역시 조금 부적절한 말과 거친 말을 했을 때

그것을 그대로 아이가 사용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아이에게 훈수를 두기 전에 나부터

곱고 바른 말을 사용하기로 다짐하기도 했다.

부모로서 당연히 가져야 할 마인드인데 그렇지 못한 부모도 많은 것 같아

안타깝기도 하다. 거리를 다니다보면 거친 욕설과 사람의 마음을 긁는 말을

사용하는 아이들을 마주할 때 그 아이보다

그 아이 부모가 눈에 그려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 아이 첫 인문학 사전>은 총 30가지 단어를 가지고

엄마와 함께 나란히 옆에 앉아 읽고, 생각하고, 낭독하기를 거쳐

아름답고 고운 우리 말을 습득하고 아이의 언어적 사고력을 높이고,

내면의 세계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각 단어별로 테마를 정해 묶어 놓았는데

<슬기로운 생각을 키우는 인문학 단어>,

<긍정적인 마음을 뿌리내리는 인문학 단어>

<훌륭한 태도를 만드는 인문학 단어>,

<나만의 철학을 세우는 인문학 단어>

이렇게 총 4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어가 시작되는

첫 장은 귀여운 일러스트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어의 뜻과 의미가 실려있고

생각하기 장에서는 엄마가 아이에게 질문을 하면 좋을 것이다.

아이와 함께 서로 생각해보면서 그날 읽고 배운 단어를 가지고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얘기하는 것 또한 상호작용을 통한

애착도 기를 수 있으니

일석이조! 마지막 낭독하기를 통해 온전히

나의 것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첫 숟에 배부를 수 없기에

매일 꾸준히 30개의 단어를 익히고, 생각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면 누구보다 인문학적 소양이 있는 아이로 성장할

기틀과 기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단어를 배운다는 건,

또 하나의 우주가 펼쳐지는 일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