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꽃이 될 수 있었던 건 ㅣ 미운오리 그림동화 7
히도 반 헤네흐텐 지음, 김여진 옮김 / 미운오리새끼 / 2023년 5월
평점 :
+
붉은빛 양귀비, 디기탈리스, 구절초, 패랭이꽃, 민들레 등등
책 표지에서 제가 알고 있는 꽃의 이름입니다.
아,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양귀비는 책의 주인공으로 확실한 것 같지만요.
제목처럼 꽃이 될 수 있었던 것에는 여러 가지 조건과 도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어느 날 바람을 타고 날아온 작은 씨앗이 땅속 깊이 뿌리를 내립니다.
조금씩 싹을 틔워 단단한 흙을 뚫고
줄기를 뻗어 네 개의 잎을 활짝 펼치지요. 아직은 어느 꽃인지,
어떤 꽃을 피울지 아무도
모릅니다. 그저 기다림이 필요할 뿐이지요. 길고 긴 어둠 속에 잠들어 있던
씨앗은 따뜻한 햇살의 포옹을 느끼며 잠에서 깨어납니다.
초록 꽃받침이 떨어져 나가고 마침내 하늘을 향해 아름답고 붉은
꽃 한 송이를 피웁니다. 마치 기지개를 켜듯이 말이죠.
먼저 피운 수많은 꽃들 속에 둘러싸인
어린 꽃은 엄마와 아빠의 환영 인사를 받습니다.
그리고 엄마에게 묻습니다.
"우린 왜 여기 서 있는 것인가요?"
엄마와 아빠는 어린 꽃에게 '꽃으로 존재할 이유'에 대해
이야기를 해줍니다. 세상을 아름답게 해주고,
기쁨과 행복을 선물해 주기 위해서라고 말이죠.
그리고 나비와 꿀벌을 돕기도 하고요.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고 그렇게 서로를 도우면서 아름다운 꽃밭이,
아름다운 숲이 만들어지는 것이겠지요. 자연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꽃의 친구이자 성장을 위한
밑거름일 것입니다. 해와 달, 비와 구름, 바람과 눈, 애벌레와 딱정벌레,
거미 그리고 지렁이
꽃에게 도움을 주는 존재도 있지만 꽃에게 시련을 주는 존재도 있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시련을 통해 더 단단해져 더 아름답고 굳세게 자신을
성장시키며 자라날 것입니다.
이렇게 꽃 한 송이를 피우기까지 얼마나 많은 수고로움과
인내함과 기다림이 필요했을까요? <내가 꽃이 될 수 있었던 건>은
그런 물음을 저에게 줍니다.
꽃 한 송이가 자라는 자연의 자연스러운 과정을 우리 삶에도
대입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는 모두 각기 다른 계절에 피는 꽃입니다.
누구는 다른 꽃보다 더 먼저 피지만 나중에 핀 꽃들은 먼저 핀 꽃을
부러워하거나 질투할 필요가 없습니다. 각자 자기에게 맞는 계절이 있으니까요.
다른 향기, 다른 생김새, 다른 우아함과 아름다움으로
주변의 모든 것에게 행복과 기쁨을 주는 존재로 성장할 것이니까요.
가끔 어쩌면 자주 시련이 덮쳐올지도 모르겠습니다. 꽃에도 진딧물이 끼고,
여러 가지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잖아요. 우리도 매 순간 삶에서 그런
시련과 고통과 슬픔,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그러나 주저하지 말고 그럴수록 더 굳세게 일어나
나만의 향기로, 나만의 아름다움으로 하늘을 향해, 세상을 향해
더 단단하게, 그렇게 나를 활짝 피워올리는
아름다운 꽃 한 송이가 되길 소망합니다.
:)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