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꽃 저문 자리 모란이 시작되면 - 한국의 대표적 서정시인 김소월과 김영랑의 아름다운 시 100편
김소월.김영랑 지음, 최세라 엮음 / 창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김소월과 김영랑은 일제 강점기를 대표하는 서정 시인입니다. 책의 제목인 <진달래꽃 저문 자리 모란이 시작되면> 은 김소월의 대표작인 <진달래꽃>과 김영랑의 대표작인 <모란이 피기까지는>를 엮어 만든 참 아름다운 제목이란 생각이 듭니다. 책의 표지 역시 아름다워 서재 한 켠에 고이 꽂아 두었다가 내 마음이 맑은 날 혹은 흐린 날 한 장씩 펼쳐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맑은 날은 맑은 기분 그대로 시를 감상할 수 있을 것이고 흐린 날은 시 한 편으로 마음을 달래고 위로받을 수도 있겠지요. <진달래꽃 저문 자리 모란이 시작되면>은 김소월과 김영랑 시인의 시 100편을 각각 50편씩 교차 수록하였습니다. 면지의 왼편에는 시인의 시가, 오른 편에는 최세라님의 감상과 해설이 수록되어 있어 시를 읽고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어렸을 때 시란 그저 국어 시험에 나오는 문제로만 생각해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밑줄 치고, 달달 외웠던 기억밖엔 없습니다. 그런데 이제 시험과 멀어진 나이가 되어 다시 '시의 세계'를 들여다보니 느낌이 사뭇 다릅니다. 시는 시대를 반영하고, 시인의 마음을 표현하는 운율의 언어이자 시인의 내밀한 목소리이기도 합니다. 또한 시 속의 화자는 읽는 이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김소월 시인의 <진달래꽃>은 노래로도 만들어져 더없이 익숙하고 친숙한 시이지만 최세라님의 해석을 읽어보니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이별의 '한'을 표현한 시로만 알고 있었는데 <소월은 이 시를 통해 이별의 슬픔을 노래하기보다는 떠나는 임의 상황을 이해하고 축복해 주는 마음을 묘사>한 시라고 합니다. 물론 시를 읽고 받아들이는 이에 따라 감상과 해석은 분명 달라지겠지만 분명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을 축복해 주는 '사랑의 힘'을 김소월 시인은 보여주고 싶었을 것입니다. 단순히 시만 수록되어 있었다면 온전히 시를 감상하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시란 서사가 아닌 함축성이 더 강한 문학이니까요. 김영랑 시인의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은 아직도 기억에 이미지화되어 생생하게 담겨 있습니다. 아름다운 리듬감과 운율감이 느껴지는 대표적인 시이기도 하고요. 한편의 짧은 힐링 영상 한 편을 보는 느낌도 듭니다. 그런데 잠시 정치에 몸담았던 김영랑 시인의 또 다른 <새벽의 처형장>은 초기의 율격이나 음악성이 존재하지 않아 안타까운 마음도 들었습니다. 여수, 순천 사건의 참혹했던 역사적 현장을 직접 목도한 김영랑 시인의 마음은 어떠했을까요? 그 참담함과 고요한 분노 속에서 글자 하나, 하나에 피를 새겨 넣듯 시를 써 내려갔을 시인의 마음....

요즘 참 여러 가지로 살기가 팍팍하고 힘듭니다. 그래도 우리 마음만은 메마른 사막이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마음만은 늘 촉촉한 초원의 푸른 향기를 담고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시인의 노래인 시'가 그렇게 마음속 초원의 향기가 되어주면 더 좋겠습니다.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