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풀고 싶은 수학
사토 마사히코.오시마 료.히로세 준야 지음, 조미량 옮김 / 이아소 / 2022년 11월
평점 :
+
일본 아마존 종합 베스트 1위, 수학 분야 50주 연속 1위, NHK 교육 TV 최고 필진이 만든 창의성 수학 <풀고 싶은 수학>. 처음 책을 펼쳐 들었을 때 뭐지? 싶었습니다. 주변에서 흔히 보았던 느낌의 수학 책이 아니었거든요. 뭐랄까?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사진들이 빼곡히 들어있어서 무슨 '화보집'을 보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그 사진들 아래 간결한 문장으로 된 설명과 질문. 오잉? 복잡한 공식 따윈 전혀 보이지 않는, 피라미드 앞 스핑크스의 수수께끼와 맞닥뜨린 느낌이랄까요? 신기함과 의아함, 호기심이 동하는 <풀고 싶은 수학> 어렸을 적 수포자였던 저였지만 이 책만큼은 재미있게 퀴즈를 풀듯 풀고 싶어졌습니다.
책장을 한 장 넘겼는데 좌우로 큼직만 한 저울이 보입니다. 두 저울 위에 너트들이 한가득 놓여있고요. 오른쪽 저울은 누군가 너트 하나를 집어 든 모습이 보입니다. 당연히 왼쪽에 비해 오른쪽 저울의 무게가 더 줄어들겠지요. 왼쪽 너트의 총 무게는 360g, 오른쪽 너트의 총 무게는 357g (너트 하나가 빠짐) '그렇다면 너트는 전부 몇 개일까?' 이게 바로 문제입니다. 답은 뒷장에 나와있지만 조금 생각한 후 다음 페이지를 넘겨보라네요. (사실 전 생각 안 하고;;; 바로 뒷장을 넘겨 보았............. ㅠㅠ)

아, 여기서 수포자와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 간에 극명한 차이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 저는 어렸을 적 문제를 풀다가 안 풀리면 생각하기는커녕 바로 답지와 설명을 보았거든요. 이게 굉장히 안 좋은 방법이자 수포자로 가는 지름길이었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지 뭐예요. 한 문제를 풀더라도 깊이 있게 사고하고, 문제의 답을 찾아내는 것. 그런 사고의 힘이 필요한 영역이 수학인데... 아무 생각 없이 편리한 방법으로 수학을 대했던 저.....
그러고 보니 옛날 학교 어떤 선생님이 하셨던 말이 생각납니다. 수학 잘 할 필요 없다. 일상에서 뭐 수학이 필요하니? 계란프라이 할 때 뭐 원지름 따지면서 부치냐? 당시 수포자였던 저는 선생님의 이 말에 깊은 감탄과 감동을 받았었더랬죠. 맞아. 일상에서 무슨 수학이 필요해. 못해도 괜찮아. 자기 위안을 삼았던. 그런데 최근 아이를 위해 홈스쿨을 하면서 수학이야말로 우리 일상과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연관되어 있는지 정말 절실히 깨닫게 되었습니다. (몰라서 안 보였던 것이지, 알고 나면 주변 모든 것들이 수학 아닌 게 없더라고요. 이 책을 보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수학은 우리에게 생각하는 힘 즉 사고력을 길러주고, 추상화 작업, 논리 구조 등 향후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학문임을요.
<풀고 싶은 수학>은 정말 풀고 싶은, 지금까지 본 적 없는 혁신적인 비주얼 수학 문제집입니다. 복잡한 공식과 원리를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사위, 타일, 사람 뒤통수, 초콜릿, 부두, 종이컵, 케이크 등 다양한 사물들 속에 숨어있는 수학적 원리를 밝혀내고, 깨닫게 해주고, 이해하게 되는 진짜 진짜 신박한 수학 책입니다. 아직은 아들이 어려서 함께 하긴 어렵겠지만 초등학생 정도만 되어도 엄마랑 같이 머리 맞대고 서로 누가 먼저 생각해서 문제를 풀어내나 게임하듯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막 방 탈출 게임하는 그런 느낌도 들 것 같아요. 아. 라떼 이런 수학 책을 만났었더라면 수포자가 되지 않았을 텐데 말이죠.
책 구성은 1장부터 9장까지 다양한 수학적 사고력과 논리력, 창의력을 길러주는 다양한 생각할 거리들을 던져주고요. 마지막 장은 단초가 된 문제 및 3명의 저자와 책의 탄생 배경이 된 이야기로 풀어냈습니다. 가볍게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간이 될 때마다 한 꼭지씩 도장 깨기 하듯 미션 완료를 하면 굳어졌던 뇌가 다시 말랑말랑해질 것 같습니다. 향후 주변 사물들을 수학적 시각과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내가 되길 소망하며~ 뭔가 막 멋질 것 같고 말이죠! 아, 수학 잘하고 싶다!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