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투르말린 공주 ㅣ 풀빛 그림 아이
다비드 칼리 지음, 파티냐 라모스 그림, 박선주 옮김 / 풀빛 / 2022년 8월
평점 :
+
볼로냐 라가치상 수상에 빛나는 다비드 칼리 작가님의 신작 <투르말린 공주>를 만나 보았습니다. 공주와 기사 이야기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두가 좋아하는 이야기가 아닐까요? 우리가 살아본 적 없는 중세 시대의 인물들(기사라는 직업, 공주라는 신분 등)을, 지금은 다양한 매체 속에서만 만날 수 있기 때문에 더 신비롭고, 호기심이 가는 것 같아요. 저 역시 그런 신비로움과 호기심에 이끌려 이 책을 펼쳐보게 되었답니다.
아름답기로 소문난 투르말린 공주지만 사실, 공주를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공주의 이름이 투르말린 인 건, 그녀의 눈동자 빛깔이 투르말린 보석처럼 밝은 하늘빛을 띄었기 때문이죠. 가엽은 투르말린 공주는 탑에 갇혀있었습니다. 그녀를 구하기 위해 등장하는 많은 기사들의 이름 또한 보석들의 이름이죠. 루비 기사, 홍옥수 기사, 황금 기사, 에메랄드 기사, 청금석 기사 등등 말이죠.

기사와 공주의 이름을 보석으로 명명한 것도 독특한데, 공주를 구하러 가는 각 기사들의 이름에 어울리게 표현되는 일러스트 또한 독특하고, 아름다웠습니다. 이야기 자체는 간결한데, 환상적인 일러스트에선 눈을 떼기 힘들 정도로 황홀하더라고요 :) 그런데 투르말린 공주를 구하러 떠나는 보석의 기사들이 한 명씩 등장할 때마다 뭔가 다양한 사건과 상황이 발생해 공주를 구하지 못하게 됩니다. 때론 어이없게, 때론 우스꽝스럽게 말이죠.
떠나기 전에는 모두들 공주를 구하겠다고 큰 소리를 쳤는데 말이죠. 결국 마지막에 등장하는 보석의 기사가 공주를 구하는데 성공합니다. 어떤 보석의 기사였을까요? 후훗. 그리고 쓰고 있던 투구를 벗어 공주와 키스를 하며 이야기는 해피엔딩으로 끝나죠. (다른 기사들에게는 새드 엔딩이었겠지만요;) 책을 덮고 다른 기사들은 왜 투르말린 공주를 구하지 못했을까 곰곰 생각해 봤습니다. 그랬던 한 가지 생각이 떠오르더군요.
마지막 보석의 기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사들은 공주를 구하려는 순수한 마음보다 공주를 구해서 자신들이 얻고자 하는 욕망 혹은 명예 등 뭔가 다른 뜻이 더 컸던 것이죠. (중간에 가다가 목표를 잊고 딴짓을 하거나~!) 내가 제일 용맹하다는 것을 보여주겠다! 내가 제일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겠다! 내가 제일 날쎄! 등등 요즘 말로 하면 '허세'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열 마디 말보다 침묵 속에 묵묵히 진행되는 한 번의 행동이 때론 더 아름다운 결말을 내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답니다 :)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