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말의 탄생 - 서양 문화로 읽는 매혹적인 꽃 이야기 일인칭 5
샐리 쿨타드 지음, 박민정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을 좋아하고, 꽃 그리기를 좋아하는 저에게 <꽃말의 탄생>은 꽃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된 기회를 준 책입니다. 우리 이름에도 어떤 '의미'가 있듯이 꽃 이름에도 '의미'가 있습니다. 사랑, 애도, 열정, 수줍음 등등. 때문에 꽃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소중한 누군가에게 꽃을 선물할 때면 그 꽃의 이름에 담긴 '의미'를 생각하며 선물하기도 하죠.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붉은 장미를, 행운을 비는 자리엔 네잎클로버를, 애도하는 장소에선 하얀 국화꽃을... 저마다 꽃말에 담긴 의미로 누군가에 대한 감정이나 표현을 대신한 것이지요.

수천 년 동안 사람들은 주변에서 자라는 꽃들에 '나름의 의미들'을 부여해 왔습니다. 물론 하나의 꽃이 각 나라의 문화, 사회적 환경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기도 했지만 꽃 자체가 가지는 '어떤 상징성'만큼은 공통점이랄 수 있지요. 왜 우리는 이토록 꽃에 다양한 의미들을 부여해 왔을까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요.) 각 꽃마다 이름과 의미의 탄생 및 배경은 다르겠지만, 당시 사회적으로 자유롭게 나의 감정을 표현할 수 없었을 때 꽃은 나를 대신해 나의 감정을, 나의 마음을 표현하는 확실한 수단이었을 것입니다. 또는 각 왕족의 문장이나 표식으로 꽃을 내세움으로써 강력한 상징성을 보여주기도 했을 것입니다. 그로 인해 꽃말이 '충성', '강함'이라는 뜻을 갖게 되기도 했을 것이고 혹은 이미 그런 '의미'를 갖고 있는 꽃을 사용함으로써 그 의미를 더욱 공고히 하기도 했겠지요.

서양의 저명한 시인이나 문학가들은 작품 속에 종종 꽃을 노래하기도 했습니다. 남자 주인공이 사랑하는 연인을 위해, 혹은 비장한 결의를 다짐하기 위해, 작품 속 스토리와 잘 어우러지도록 꽃은 다양한 의미로 빛을 발했습니다.

계곡과 언덕 너머로 떠다니는

구름처럼 홀로 떠돌다

나는 보았네

한 무리의 수많은 금빛 수선화를

- 워즈워스의 <수선화>(1807) 중

이처럼 꽃에 대한 문학 또는 신화, 역사, 설화, 민담, 전설 등 꽃말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가<꽃말의 탄생>에 담겨 있습니다. 서양문학을 읽을 때 참고가 될 내용들이지요. 총 50가지 꽃들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이미 알고 있는 꽃과 꽃말도 있었지만, 생소한 꽃과 꽃말도 있어서 알아가는 즐거움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아름다운 꽃의 일러스트가 눈을 사로잡았고요. 기회가 된다면 한 송이씩 그려보고 싶기도 하네요. 아~ 그리고 꽃의 생김새에 따라 꽃의 이름이나 꽃말, 용도가 정해지기도 했다네요. 예를 들어 난초는 알뿌리가 남성의 생식기를 닮아 인류 역사상 대부분 최음제로 여겨졌다고 합니다. (!!!!)

책에는 없지만 갑자기 우리나라 꽃들 중 좀 독특한 이름이 생각나네요. '개불알꽃'과 '며느리밑씻개' 아... 꽃 입장에선 상당히 억울할 것 같은 이름입니다. 특히 며느리밑씻개는 시어머니의 고약한 심보가 떠오르기도 하네요. 구박받는 며느리의 모습도 떠오르고요. 화원이든, 정원이든, 식물원이든, 길섶이든, 풀밭이든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임에도 불구하고 자세히 들여다보면 제각각 많은 사연과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것이 참 신비롭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 꽃을 마주할 때 무심코 지나치진 못할 것 같습니다. (저는 꽃을 좋아해서 그냥 지나치지 않긴 하지만... 바쁜 일상에 쫓기다 보니... 또 여유가 없기도 했던... ㅎ) 가만히 귀를 기울여 꽃의 이야기도 들어보고 싶고, 그냥 꽃으로 부르지 말고 '그 꽃의 고유한 이름'을 정확히 불러주고 싶네요.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