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 가루 ㅣ 웅진 우리그림책 87
이명하 지음 / 웅진주니어 / 2022년 2월
평점 :

어렸을 적 달에는 토끼가 산다는 옛날이야기를 믿었던 적이 있었지요. 어른이 되면서 동화보다는 자연스레 현실에 더 가까워지지만 여전히 동화가 주는 울림은 큰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어른이 된 지금도요. 오늘 만나 본 <달가루>라는 동화가 그렇습니다. 먼저 <달가루>에서 눈여겨볼 포인트는 두 가지입니다. 달의 변화를 아름다운 동화적 상상력으로 표현한 것과 곰벌레라는 다소 생소한 벌레와 달토끼의 공존을 그린 것이죠.
달토끼는 달에 살면서 하루 일과를 시작합니다. 달을 파고, 달가루를 모아 심는 것이죠. 달을 파면 반달을 지나 초승달이 되고 또 시간이 지나 모았던 달가루를 달에 뿌리면 달가루가 자라 보름달이 되는 것이지요. 삭을 지나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의 순서로 차고 이지러지는 달의 변화를 이렇게 동화적 상상력으로 재미있게 그려냈습니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저는 상상도 못했던 부분인데 정말 작가의 상상력에 감탄하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곰벌레의 방해죠. 달토끼가 애써 모은 달가루를 곰벌레가 먹어치우는 일이 자주 일어났거든요. 보다 못한 달토끼는 곰벌레를 향해 소리를 지릅니다. "너도 같이 모아!!!!" 그렇게 달토끼와 곰벌레는 함께 달가루를 모으기 시작합니다. 혼자서 일을 했을 때보다 곰벌레와 함께하니 일하는 것이 훨씬 수월해졌죠. 물론 곰벌레에게 줄 달가루는 따로 챙겨두는 것도 잊지 않은 달토끼입니다. 그렇게 달은 차고, 이지러지기를 반복합니다. 오늘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달도 실은 달토끼와 곰벌레가 애써준 덕분이 아닐까요? >0<
평소보다 많은 달가루를 모은 달토끼와 곰벌레는 달가루를 가득 싣고 달 끝으로 향합니다. 그리고 달 끝에서 달가루가 가득 든 보따리를 풉니다. 그러자 곱고 새하얀 달가루가 아래로, 아래로 흩뿌려집니다. 지구에는 펑펑 하얀 눈이 옵니다. 하늘에서 달 가루가 떨어집니다. 아이들은 신이 나 환호하고, 눈덩이를 뭉쳐 눈사람도 만듭니다. 눈이 오면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아지고 설레기도 하지요. 달토끼와 곰벌레도 아주아주 많이 행복하답니다.
참고 : 왜 하필 곰벌레인가요? 2019년 4월 11일 이스라엘의 무인 달 탐사선 베레시트가 달 표면에 착륙을 시도하던 중 달에 추락했데요. 그 우주선에 '곰벌레'를 실어갔는데, 곰벌레는 생존 능력이 아주 뛰어나다고 합니다.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