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자에게 - 김선미 장편소설
김선미 지음 / 연담L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사업 실패와 빚독촉에 시달리던 재만은 가족 살해 후 자살을 결심한다. 매스컴에서 '동반자살'이라는 이름의 비극으로 종종 보도되는.
아내는 죽었지만 큰아들 진혁의 예기치 못한 저항에 진혁을 놓치고 그 틈을 타 둘째 아들 진웅은 침대 밑에 숨는다. 그때 진웅의 눈에 비친 처참한 엄마의 모습... 재만은 죽은 아내 곁에서 자살을 시도하지만 결국 실패로 끝나고 감옥에 가게 된다.
그렇게 남겨진 형제는 친할머니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 함께 살게 된다. 그러나 마을 호수에서 한 소녀가 목숨을 잃자 살인자의 아들이라는 이유만으로 누명을 쓰게 된 진혁은 쫓기듯 마을을 떠나게 된다.
10년 후 유등축제가 한창인 어느 날, 감옥에서 출소한 아버지가 돌아왔다. 할머니의 부탁으로 다시 마을로 오게 된 형 진혁까지 죽은 엄마를 제외한 한 가족이 모였지만 모든 것이 어색하고 껄끄럽기만 하다. 희망으로 가득 차 있는 유등축제 분위기와는 달리 진웅의 가족은 위태롭기만 하다. 설상가상으로 아버지가 돌아온 날 또다시 살인사건이 발생한다. 어딘가 이상한 형의 행동, 이미 전적이 있는 아버지까지. 진웅은 아버지와 형을 의심하는데... 이 살인사건의 진짜 범인은 누구이며 숨겨진 진실은 무엇일까?
반전에 비애적인 부성애와 씁쓸한 결말까지. 그리 유쾌하게 읽지 못한 소설 '살인자에게'. 이는 엄연한 '살인'임에도 불구하고 '동반자살'이라는 너무나 이상한 이름으로 표현되어 삶을 마감한 아이들의 마음을 생각해보다가 쓰게 된 작품이라 한다. 가장으로서 느꼈을 책임감과 중압감에 못 이겨 극단적인 선택을 한 아버지라는 한 개인의 삶은 분명 서글프고, 아프다. 그를 이 지경까지 몰고 온 불완전한 사회 시스템 또한 책임 없다 하지 못할 것이나, 어떤 부모도 자식의 생명과 기회를 박탈할 권리는 없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우한폐렴 (코로나19)으로 인해 실직한 영국의 한 가장이 자신의 아내와 어린 두 딸을 총살 후 자신 또한 자살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이 책이 생각났다. 너무나 해맑고 예뻤던 어린 두 딸들. 이런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을 아버지의 심정은 얼마나 참담했을까, 눈물이 나기도 했지만. 과연 아내와 두 딸은 이 죽음에 동의했을까? 아버지인 그 자신이 사회로부터 지원받지 못했기 때문에 남겨질 내 가족들 또한 그런 운명을 맞이할 것이란 생각에 죽음을 선택했겠지만, 이는 비극이기 전에 오만이고 분명한 범죄다.
『 동반자살이 아니다. 동반자살이라는 말은 모든 가족이 동의해서 함께 죽음을 택했을 때만 사용하는 것이다. 나는 죽음에 동의한 적이 없다. 그건 엄마도, 형도 마찬가지였다. 우리는 대항할 힘도 없는 상태에서 아버지가 정한 목적에 의해 강제로 희생당한 것이다. 그렇기에 동반자살이라고 말하면 안 된다. -19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