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고흐 : 태양의 화가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7
파스칼 보나푸 지음, 송숙자 옮김 / 시공사 / 1995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미술관에 많이 가보지는 못했다. 우리나라 사람의 본성이 그래서일까? 잘사는 것도 아닌데 왠지 미술관이나 음악회에 가는 것은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그 시간에 조금이라도 더 벌여서 저축하려는 습성을 가진 사람들이 우리의 부모였고, 우리들이였다. 그런 점에 있어서 나는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들을 고등학교 미술책에서만 몇 번 봤을뿐, 잘 알지 못했다. 그러나, 대학에 와서 미술개론 수업에서 그를 다룬 이후에 이 책을 사게 되었고, 나는 감동했다.

미술의 이론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고흐의 그림은 텃치가 강렬하다. 힘과 집중력이 느껴진다. 그가 그린 일련의 자화상들이 그랬듯이 인상이 강렬하다. 고흐는 말 수 없는 조용한 학생으로서의 청년기와 유능하고 세심한 직원으로서 20대를 보낸 후 뒤늦게 화가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그의 재능은 남달랐다. 비록 살아 생전에는 그 재능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했지만, 그는 지금 가장 인기있는 화가 중의 하나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물론 앞서 지적한 강렬함이다.

이 책의 작가인 파스칼 포나푸 선생도 그것을 지적하듯이 부제를 '태양의 화가'로 썼다. 그런데, 나는 그의 강렬함이 그렇게 인상적일 수 있는 이유는 그의 전기 작품들에 있다고 생각한다. 성직자의 길을 열망했던만큼 광산촌의 가난한 사람들을 소재로 그림을 많이 그렸던 반 고흐는 일련의 그림에서 사람들의 내면에 담긴 상처와 아픔들을 그렸다. 그들의 내면에 끊임없이 치유의 대화를 걸었던 반 고흐. 나는 적어도 그의 그림을 그렇게 감상했다. 그렇기 때문에 고흐의 그림에서 자유롭게 소용돌이치는 빛과 그림자는 그가 그린 대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고흐의 내면에 있다고 생각한다. 삶에 대한 애착이 그림에 그대로 투여된 것이다. 이 소시민들의 슬픔에 대한 안타까움이 붓 끝을 통해서, 팔레트의 색채들을 통해서 화폭에 그대로 옮겨진 것이다.

그래서 그의 그림은 화가로서 이들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하는 고뇌가 담겨 있는 것 같다. 나는 그런 고흐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가벼워진다. 나의 주변에도 누군가가 고흐처럼 나를 생각하고 세상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라는 마음에서이다. 그러나 그가 누구일까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내가 고흐처럼 세상을 바라보는 강렬한 시선을 가져야하기 때문이다. 그의 따뜻함과 강렬함. 나는 그것을 배우고 싶다. 그래서 오늘도 나는 고흐의 그림을 보면서 그의 내면에 말을 걸어 본다. 그의 상처가 묻어있는 그림을 읽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