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정일의 독서일기 ㅣ 범우 한국 문예 신서 79
장정일 지음 / 범우사 / 199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장정일의 소설을 읽어보지는 않았다. 개인적으로 소설을 읽을만한 여건이 안 되기도 할뿐더러, 솔직히 별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떤 이유에서든 그가 세간의 입에 자주 오르내렸던 이유에 대해서 내가 관심이 없었던 이유와도 같다. 그러나, <장정일의 독서일기>는 재미있다. 내가 학문을 하고, 서가에 책을 많이 꼽아놓고 있기 때문일까? 책을 수집하기 위해서 꼽아놓는 것은 아니지만, 관심거리가 같다는 점에서 장정일의 이 책은 나에게 흥미로웠다. 마치 우표를 모으길 좋아하는 사람이 우표 수집을 취미로 하는 또다른 사람의 집에 가서, 그가 소장하고 있는 우표를 구경하는 기분이랄까? (그런데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안 것이었지만, 장정일씨는 책을 주로 도서대여점에서 빌려 읽었다)
나는 장정일씨의 책을 읽으면서 그런 기분을 맞보았다. '아, 이런 책도 읽구나. 한 번 읽어봐야겠다', '어, 이 책 나도 읽었는데? 이렇게 이해하는게 아닌 것 같은데?'와 같은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특히 나 역시 장정일씨처럼 동사무소의 하급공무원이나 하면서 다섯시에 퇴근하여 집에 돌아와 발씻고 책이나 밤늦게까지 읽는 것이 꿈이었던 적도 있다. 그리고 나 역시 그처럼 다른 저자의 책에 느낌표나 물음표 혹은 나름대로의 독자후기를 쓰고 있었다. 그런 점에 있어서 항상 책을 열심히 읽는 장정일씨의 부지런함을 나는 많이 배웠다.
물론, 철학을 전공하는 나에게 장정일씨와 책에 대한 취향은 많이 달랐다. 그러나 같이 책에 대한 남다른 애정이 있는 만큼, 책이라면 다른 분야에 대해서도 적잖은 관심이 있기 마련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그렇게 기뻐했다. 마치 밤새도록 장정일씨와 책에 대한 토론을 하는 느낌이었다. 비록 그의 견해는 나와 많이 달랐지만, 적어도 책이라는 공통의 관심거리가 있었기에 우리는 쉽게 친구가 될 수 있었다. 적어도 세간에서 장정일 소설가가 어떤 의미나 가십거리로 이해되든지 간에 장정일씨는 참 재미있고 또한 실천적이고 열성적인 소설가였다. 나 역시 중학교를 졸업하고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살고 싶었지만, 장정일씨처럼 그렇지 못했던 것처럼.
적어도 이런 점은 분명히 장정일씨의 미덕이다. 그는 열심히 공부하고 또한 그만큼 실천한다. 그 내용이 얼마나 옳으냐 그르냐에 대해서는 아직 말할 수 없어도 이 책을 읽으면 책읽는 즐거움을 맛보면서 저자의 책읽기의 부지런함에 대해서도 배운다. 장정일씨가 이 책에서 다룬 내용에 대해서 나는 할말이 많다. 그러나 장정일씨가 들을 수 없으니 안타깝다. 언젠가 나 역시 이런 책을 한권 쓰면 그에게 꼭 선물하고 싶다. 서로 취미가 같은 선배에게. 독자 여러분도 적어도 책에 상당한 관심이 있어 이곳을 검색하고 있을테니, 장정일씨의 책을 한 번쯤 읽어보면 많이 재미있어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