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들뢰즈와 가타리
로널드보그 지음 / 새길아카데미 / 1995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국내에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인기가 막 무르익기 시작할 때를 맞춰 번역된 그들에 대한 최초의 평론이다. 물론 이 책은 역자인 이정우 선생님의 지적처럼, 저자인 로널드 보그의 문학적인 입장에서 들뢰즈와 가타리를 평가했기 때문에 그 철학적인 심오함은 잘 다뤄져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당시에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열풍과 달리 지금도 국내에 그들의 주요저작이 번역되어 있지 않으니 그 당시의 열악함은 어떠했으리.
이 책에서 로널드 보그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주요한 철학적 작업인 <앙띠 오이디푸스>를 중점으로 분석한다. 즉 스피노자나 베르그송까지 아우르는 들뢰즈의 철학적인 계보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는다. 들뢰즈와 가타리를 공정하게, 그리고 그 둘이 실제로 수행한 작업에 대해서만 평가하려는 의도였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니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까지 다루고 있으며, 프루스트에 대한 들뢰즈의 사유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가타리 이전의 들뢰즈를 다룰 수 없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II부는 좀 더 실용적이다. 그들의 '소수집단의 글쓰기'나 '앙띠 오이디푸스'에 대한 평가는 들뢰즈에 대한 국내의 연구에 비해서는 다소 희소하기 때문이다. 로널드 보그는 들뢰즈의 차이의 존재론에 입각해 '욕망적 생산의 분열증 분석'을 통해 들뢰즈와 가타리의 저작을 평가한다. 흔히 그들 작업에 있어 주변적인 것으로 평가되는 프루스트 주해나 카프카 주해를 넣었다는 점에서 문학적인 측면에서의 평가라는 점이 눈에 띈다. 나의 생각으로 아직까지 이들의 이론이 문학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된 것은 보지 못했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 충분하다. 저자 역시 그 측면을 생각했음을 밝히고 있다(256쪽 이하).
그렇다고 이 책이 그런 측면에만 경도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로널드 보그 교수 역시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적인 깊이를 나름대로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에서 이들에 대한 연구를 로널드 보그 교수의 입장과 비교해 보는 것도 흥미로운 작업일 것이다. 인터넷 상으로도 이런 토론도 가능할 수 있기를 바란다. 머지 않아 그런 날이 올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