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에세이 - 개정증보판 동녘선서 70
김교빈.이현구 지음 / 동녘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동양철학에 대한 입문서이다. 저자들이 책의 앞머리에서 밝히고 있듯이, 기공술이나 사주팔자로 속화되어 있는 동양철학에 대해 올바른 의미를 전달해주기 위해서 이 책은 쓰여졌다. 특히 에세이라는 제목이 붙은데서 알 수 있듯이, 참 쉽다. 책의 구성은 공자, 노자를 비롯해서 순자, 맹자까지 익히 알려진 동양철학의 사상가들을 설명한 다음, 주역과 같은 책을 살펴보는 식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몇 년전에 공자에 대해 일본의 어떤 방송사와 우리나라가 방송사가 같이 만든 애니메이션이 생각났다. 그것은 공자의 생애와 사상을 쉽게 설명한 것이었는데, 추석과 같은 명절 프로로는 적격이었다. 물론, 나는 그것을 재미있게 보았다. 이 책 역시 나에게 그런 느낌을 주었다.

삶과 항상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동양철학의 가르침은 쉽고, 깊이가 있지만 어렵거나 현란한 개념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배웠으면서 익히지 않는 개념을 동양철학에선 진정한 앎으로 생각하지 않듯이, 공유할 수 없거나 일상생활을 배제한 지식도 진정한 앎이 아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우리가 자라난 이 환경이 얼마나 오랜 시간의 知的인 퇴적이 있었던 가를 보여준다. 속담이나 고사성어가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이 주듯이, 저자가 분명하지 않은 동양의 가르침들은 그렇게 삶 속에서 녹아있다. 우리가 익힌 습관과 습속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그대로 행하면 왜 자연의 순리를 거스리지 않는지도 알 수 있다.

물론 서양철학도 상당한 매력을 지니고 있지만, 동양철학의 이러한 융화력은 서양철학이 가지지 못한 강점이다. 나는 학부 수업에서 칸트는 이성, 오성, 감성을 분리하였지만, 동양철학에서는 이러한 분리가 없다는 것을 배웠었다. 아물러,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과 같은 작업도 통합되어 수행되었다고 하셨다. 그 동양철학 교수님은 지금 정년을 앞두고 계시는데, 지금 생각해봐도 그 말이 맞는 것 같다.

아무튼 이 책은 유교의 정서를 몸으로 익히고 자라온 한국사람에게 동양철학이란 무엇인가를 알기 쉽게 가르쳐준다. 동양철학의 환경에서 자란 사람에게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의미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매력 또한 색다르다. 책의 내용이 그다지 어렵거나 길지 않기 때문에 도서관에서 잠시 읽어도 좋을 그런 책이다.

교양을 쌓는다는 것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틈틈이 이런 책을 읽어두면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자신의 삶이 자신의 것이듯, 그 의미 또한 스스로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