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행위이론 I
위르겐 하버마스 지음 / 의암 / 1995년 8월
평점 :
절판


위대한 이론의 용광로! 이것이 내가 파악하는 이 책 <소통행위이론>에 대해 할 수 있는 가장 짧은 말이 될 것이다. 하버마스는 이 거대한 저작을 통해 현대의 자본주의 사회가 어떤 식으로 발전해 왔으며, 또한 그 발전의 과정 속에서 어떻게 체계적으로 인간을 억압하고 왜곡시켜왔는지를 지리하리만큼 상세하게 탐구하고 있고, 또한 이에 대한 상당히 구체적인 대안을 이전에 행해진 사회연구들에 대한 포괄적 비판을 통해 도출해 내고 있다.

하버마스는 1970년대에 있었던 루만과의 논쟁을 통해서 자신이 이전까지 가지고 있었던 사회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생각들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하여 세상에 내놓을 필요성을 절감한 끝에 본 저서인 <소통행위이론>을 집필한 것으로 보인다. 책 자체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을 하자면 1천여개의 참고문헌을 통해 1천여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하고 풍부하며 난해한 작업을 통해 이 책을 집필한 것이다.

하버마스는 이 책에서 막스 베버 이래로 관심이 집중되었던 서구사회의 합리화의 과정에 대한 탐색을 통해서 어떻게 사회의 구조가 결정지워 졌으며, 또한 이러한 합리화의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되었던 왜곡된 사회의 측면을 찾아내려 하고 있으며, 이전의 연구자들이 행하였던 업적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의 연구에서 발견된 오류들을 정정하고 나아가 이러한 정정과 함께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켜 위대한 해방의 지평으로 의사소통의 합리화을 제시하고 있다.

반복되는 이야기가 되겠지만, 하버마스는 막스 베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미드와 뒤르껭, 파슨스에 걸쳐서 종합적인 비판을 통해 자신의 소통행위의 개념을 이끌어 내고, 또한 자신의 이론이 이제 이전의 비판의 여지가 농후한 연구들을 종합하고 보완한, 사회이론의 최종적-지금까지는-결정체라고 여기는 듯 하다. 이 책이 하버마스의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d. Ⅰ·Ⅱ 중 Ⅰ만을 번역한 것이기에 하버마스의 소통행위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조금 우스운 이야기지만, 내가 다니는 대학에서 사회학과 교수님이 이 책 번역자 중의 한 분이셨는데, 2권을 번역할만한 시간이 없으시다고 하신다. 그분 연구실적이 많아서 뭐라 부탁할 수는 없지만, 책의 2권이 빨리 번역되어 나왔으면 하는 심정이다. 하버마스의 이론은 우리나라에 소개된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가운데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그의 이론은 매력적이다. 따라서 그의 주저인 의사소통이론을 읽어본다면 대학자의 넓은 사유영역에 빠져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