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들뢰즈의 푸코
질 들뢰즈 지음, 권영숙 외 옮김 / 새길아카데미 / 1995년 11월
평점 :
품절
들뢰즈. 푸코. 이 두명은 지금 국내의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하나의 키워드로 읽힐만큼 새롭게 연구가 되고 있는 학자이다. 철학 전공자인 나에게도 이 두명의 학자는 젊은 학도들에게 아주 매력적인 영역이다.
예컨데, 들뢰즈의 <앙띠 오이디푸스>나 푸코의 <감시와 처벌>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알아가는 것은 선대의 어느 철학자들 못지 않다. 또한 <의미의 논리>나 <담론의 질서>를 비교하며 그들의 후기구조주의적인 면모를 살피는 재미도 쏠쏠하다. (이정우 선생은 이를 객관적 선험으로 개념화하기도 했다) 들뢰즈의 푸코는 이 둘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유일한 단행본이다.
물론, 그들은 대담에서 몇차례 만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마가진 리테르뜨에서 그들의 핵심단어인 욕망(desir)과 권력(pouvoir) 개념을 서로 논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들뢰즈가 푸코를 위해서, 그의 연구를 세심하게 논의하였다는 것은 충분히 읽어볼 가치가 있다. 대담과 단행본의 의미구성이나 농밀함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물론 이 책에서 들뢰즈는 그가 익히 스피노자나 니체와 같은 학자들의 주해를 달때에도 그랬듯이, 푸코의 주해도 그의 미래의 연구를 위한 공부이기도 했다. 즉, 푸코의 미시적인 권력분석에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해 스스로 그를 공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역사적 선험성이나 외부(dehors)로 이해되는 에피스테메, 들뢰즈의 특이성(singularite)과 푸코의 미시정치학을 비교한 부분, 가시적인 것과 언표가능한 것의 관계 등의 문제를 논의하는 부분은 푸코를 이해하기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푸코에 비춰진 들뢰즈 자신의 思惟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
학문에서의 정신적인 교감과 그들의 유대를 알 수 있는 책이 들뢰즈가 쓴 <푸코>이다. 전공자라면 이 책에서 두 사람의 사유가 교차하는 부분을 많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이 책의 결점을 하나만 꼽자면, 책의 구서이라든가 용어 사용의 문제에 있어서 들뢰즈가 그의 후기 용어들을 너무 많이 쓴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니체나 스피노자, 흄의 주해와는 다른 것이다. 즉, 들뢰즈는 푸코의 미시권력 개념에 대해 하나의 반론을 펼친다는 인상도 풍기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공평하게 이해하려면 적어도 들뢰즈와 푸코의 주요저작을 읽은 후에야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