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이진경 지음 / 소명출판 / 200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진경 선생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명인사이다. 특히 나에게는 그 의미가 남다른데, 그에 의해서 철학을 알게되었고, 푸코에 매료되었으며, 맑스를 위시한 사회구성체 논의에 관심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다방면으로 박식하며, 그 깊이 또한 꽤 전문적이다. 예를 들어, 앞전에 출판했던 <수학의 몽상>이 그러한 경우다.

이번의 책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은 이진경 선생의 전공에 관한 치밀한 연구다. 특히 나에게 이 책은 그가 다소 생소한 공간사회학의 분야를 푸코를 통해 연구하면서 건축학에 대해 얼마나 열심히 파고들었는가를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나 역시 사회학을 전공하였지만, 이렇게 사회과학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공간사회학의 의미를 도드라지게 한 연구는 접하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읽는다는 것은 나에게 큰 기쁨을 주었다. 또한 이진경 선생 자신에게도 이 연구는 그가 <맑스주의와 근대성> 등에서 강조한 '주체생산양식'에 대해 실증적인 검증을 했다는 점에 있어서 의미가 컸을 것이다.

이 책에서 이진경 선생은 공간을 '배치'의 문제로 접근하였는데, 공간적 분포의 분석방법에 있어서 1) 접근가능성 2) 비대칭성 3) 통합성 4) 응집성 등의 개념으로 그 과학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욕망 혹은 권력의 개념이 어떻게 주체의 것으로 생산되는가 그 메커니즘을 살피고 있다. 이것은 들뢰즈와 푸코가 만나는 접점이며 마르크시즘의 경제적 사회구성체의 문제틀이 확장되어 포스트-마르크시즘에서 다루어지는 문제틀이다.
나에게 이 문제는 현대사상의 핵심으로 보인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스피노자와 니체를 경유해 들뢰즈와 푸코로 나아가는 힘[potnetia] 개념이 욕망의 문제로 어떻게 전화하는 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주체가 스스로를 규정하려는 힘과 사회-문화적 환경이 주체를 규정하려는 힘이 만나는 접점의 문제를 사유하는 개념이 욕망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주거공간을 통해 욕망의 규정 문제를 접근하는 이진경 선생의 이 논문은 아주 흥미롭다. 인문사회과학 분야 전공자라면 일독을 권한다. 물론, 건축학과 학생들에게도 흥미로운 글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