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자와 21세기 - 1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1999년 11월
평점 :
절판
작년에 이어 올해도 김용옥 선생이 강의하는 TV 프로가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다. 강연주제를 이제 노자에서 공자로 옮겨와 강의를 하는데, 나는 사실 자주 보진 못했다. 그러나, 노자 때는 TV 볼 기회가 많아 자주 볼 수 있었고, 그의 강의에 많은 것을 배운 것이 사실이다.
나는 서양철학을 전공하며, 전공분야에 논문도 썼었다. 그렇기 때문에, 김용옥 선생의 강의는 인기가 많지만, 철학과 교수들은 김용옥 선생의 학문적 깊이에 대해 별로 대단해 하지 않는다는 둥의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그들이 어떤 의미에서 그런 발언을 했는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나는 김용옥 선생의 강연을 듣고 난 후, 그의 책을 여러권 읽어봤고, 이 <노자와 21세기>도 읽었다. 동양철학 전공자가 아니라 딱히 뭐라 말하긴 힘들지만, 지나치게 서문이 길고 연구의 결실로 이루어진 글이라고 하기엔 체계가 없었다.
이 책도 그런 의미에서 실망감이 있었다. 활자 크기가 지나치게 큰 것도 못마땅하고... 한권으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그것은 김용옥 선생이 말을 하고 활동적인 강의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다시 정리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어쨌든 이 책은 김용옥 선생 자신이 상당히 유명인사인 만큼, 읽어봄직도 한 책이다. 교양의 수준에서는 읽어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의 강의가 더 재미있게 보인다. 아무래도 이 책은 강의록을 토대로 만든 것이기 때문이리라.
마지막으로 한가지 더 짚고 넘어간다면, 김용옥 선생 자신은 스스로의 강연능력과 입담, 그리고 해박함으로 인해 강연에 인기가 많다고 하지만 나의 생각은 그렇지 않다. 물론, 그의 책이 항상 베스트셀러에 오르고,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시청률이 높다는 것은 철학 전반에 관심층이 많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정우 선생의 '철학 아카데미'에 수강자가 많은 것도 그와 같은 이유로 풀이된다. 이정우 선생은 김용옥 선생과 정반대의 강연방식을 취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철학 전반에 많은 사람들이 흥미를 가진다는 점에 환영을 하며, 이 책을 비롯해 지금 방송되는 논어 강의도 많은 사람이 들었으면 한다. 동아시아에 태어나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전공자 이외엔 동양의 고전을 읽지 않는다는 것이 도무지 말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런 강의와 대중적인 책의 출판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