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분석으로 발견한 상위 5% 리더의 습관
고시카와 신지 지음, 김정환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항상 변화를 감지하고 그 변화에 대응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p24)"



리더십. 이 단어는 유연성, 진취성, 독창성 등을 느끼게 한다. 대학 시절 리더십 수업을 들었다. 조원들 모두 자신은 리더 타입이라고 말하는데, 내 눈엔 전혀 그렇게 보이질 않았다. 그저 '리다가 되고 싶은' 사람으로만 보였을뿐.


고시카와신지 작가의 <AI분석으로발견한상위5%리더의습관>을 보면 찐 리더에 대해 알아보았다.



.



" '꼼꼼하게 이야기하면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확실하게 전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관리직도 많다. (p52)"



AI 분석으로 못하는 게 없구나... 싶었다. 기업 리더 1만 8천 명을 정밀 분석한 덕분에 상위 5%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유능한 리더의 패턴과 유능하지 못한 리더의 패턴 차이를 보며, 탁! 깨달음이 왔다. 강연을 볼 때도 비슷했다. 첫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임팩트가 없는 강연자를 만나면 돈이 아까웠다. 리더 또한 마찬가지이다. 회으에서 첫 한마디, 마지막 5분이 중요한 이유는 간단하다. 어차피 사람들은 70% 정보를 쉽게 잊기 때문이다.



.



"일반 리더는 처음부터 다짜고짜 단점을 지적하거나 부정적인 피드백을 하는 경우도 있다. (p202)"



피드백은 늘 중요하다. 하는 사람도 피드백을 '잘'하는 법에 대해 공부해야 한다. 진정한 리더들은 피드백을 할 때도 다르다. 모임에서 폭탄 리더들을 만나 고생해본 입장에서 상위 리더들이 남다른 피드백을 한다는 것에 깊은 공감이 되었다. 잘못된 피드백이 언어 폭력이라는 걸 알았으면...



상위 5%로 인정받으며 성공한 사람들은 비슷한 공통점이 있다. 우리가 그것을 책으로 배우고 흡수한다면 자신의 영역에서 존경받는 인재가 되리라 믿는다. 모임의 리더, 회사 내 리더, 나 자신의 리더. 어떤 리더든 올바른 리더가 되기 위한 필독서였다.





책을 제공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상위 5퍼센트 리더는 "진행하자!"라고 결단을 내리는 동시에 "대신 이 일은 제외하겠다"라는 트레이드오프를 한다. - P64

더 많은 행동을 할수록 더 많은 것을 배워서 다음 행동에 활용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 P1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