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 - Vicky Cristina Barcelona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우디 알렌(Woody Allen)의 영화들을 보면, 

'사랑' 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위대한 단어인지 알 수 있다.

모성애, 불륜, 짝사랑, 로맨스 등등...

그가 영화에서 표현하는 '사랑'은 대담하기도 하고 치열하며, 때론 귀엽다.

어떻게 보면, 그의 영화들은 

아직 '사랑'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와 같고,

그 '사랑'을 한번쯤은 경험하고픈 충동을 들게 한다.

 

나는 오늘 <매치포인트>이후 오랜만에 그의 영화를 보았다.

원제는 <Vicky Cristina Barcelona>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라는 기괴한 제목으로 번역됐다.

개인적으로 원제가 더 마음에 들고,

우리나라의 제목을 보는 순간 상술이라고 느껴져서 

영화 포스터도 해외판 포스터로 올렸다.

 



 

"어때서? 인생은 짧고, 인생은 따분하고 괴로운 것인데

 아주 좋은 기회지." 
 

 

사랑에 대해 현실주의자인 비키와  낭만주의자인 크리스티나는

여름 휴가를 스페인에서 함께 보내게 된다.

둘은 우연히 레스토랑에서 남성미 넘치는

이혼남 화가 후안 안토니오 곤잘로를 만나게 되고,

주말에 오비에도로 놀러가자는 그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약혼자가 있었던 비키는 가고 싶지 않았지만

크리스티나의 적극적인 행동에 어쩔 수 없이 동행했고, 

여행 중에 둘은 곤잘로의 매력에 빠지게 된다.

물론 각자 다른 방식으로, 비키는 내적인 감정 변화를 겪었고

크리스티나는 적극적인 애정표현으로 곤잘로의 연인이 되었다.

 



  

"우리의 사랑은 영원히 갈꺼야. 영원토록 기우뚱 거리면서..

 그래서 로맨틱 하지. 완전하질 않으니까."

 

크리스티나와 곤잘로는 정열적인 사랑을 하게 되고,

비키는 약혼자를 떠올리며 감정을 절제하지만

곤잘로에 대한 연정이 사라지지 않는다.

그러던 중 곤잘로는 전 부인이던 마리아 엘레나가

자살시도를 했다는 연락을 받게 되고,

걱정된 곤잘로는 전 부인을 데려와 자신의 집에 살게 한다.

이 어이없는 상황에 크리스티나는 화가 나지만 곤잘로의 말에 설득되고,

시간이 흐르자 비슷한 성격의 엘레나와 크리스티나는 격정적으로 친해진다. 

결국 이상한 관계를 유지하며, 한 집에서 셋은 한동안 조화롭게 살아간다.

 



 

 "고질적인 불만족, 바로 그거야. 고질적인 불만족. 큰 병이지."

 

시간이 흐르자 크리스티나는 채워지지 않는 감정에 싫증을 느끼고,

곤잘로와의 이별을 뜻하는 프랑스 여행을 혼자 떠난다.

크리스티나가 떠나자 곤잘로와 엘레나는 이혼의 원인이 되었던

격한 성격차이를 드러나게 되고,

결국 엘레나는 곤잘로의 집을 나온다.

한편, 유부녀가 된 비키는 곤잘로에 대한 연정이 아직 정리가 안되어

남편과의 부부생활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한다.

다시 혼자가 된 곤잘로는 이런 비키의 마음을 눈치채고 

비키에게 은밀한 약속을 청한다.

 



 

"저 끌리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마음이 뒤흔들릴 정도는 아니고,

 사실 당신은 장래를 기약할만한 타입은 아니예요."

 

영화를 보는 내내, 내게는 문화적 차이가 조금 있다는 것을 느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영화에서 표현되는 불륜과 로맨스가 존재하지만 

이질감을 느끼는지라,

나로서는 공감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건 사고가 보수적인거나 개방적인 것을 떠나서

사람이 살아가는 환경과 접하는 문화의 차이에 있다.

그러나 영화를 다 본 후 다시 생각해보니

우디 알렌이 이 영화를 통해서 말하려는 의도를 조금이나마 깨달았다.

 

우리나라에서도 불륜, 양다리, 부부의 금지된 사랑 등을 소재로 드라마가

몇 편 제작되어 네티즌들로부터 흔히 '막장 드라마' 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런데 그런 드라마는 '막장 드라마' 라는 말을 들으면서도 은근히 시청률도 높다.

사람들은 금지된 사랑을 비난하면서도 왜 그런 사랑에 관심을 두는 것일까?

그것은 고질적인 불만족에 시달리는 인간 심리에 있다.

서로를 사랑하는 남자와 여자가 처음에 가졌던 감정을 토대로 

정열적인 사랑을 지속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결혼이라는 계약을 체결한다면

이건 뭐 더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이 한 사람만 사랑해야 한다.

언젠가 서태지가 자신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를 TV에서 말했는데,

"연애는 하겠지만 결혼은 서로를 구속하는 것이라 싫다." 라는 그의 말에 공감한다.

남자든 여자든(남자보다는 덜하지만) 밀려오는 사랑의 감정에 늘 흔들린다.

항상 부패되어가는 감정으로부터 새로운 감정을 요구하고

반복된 패턴 속의 싫증보다는 신선함과 놀라움을 원한다.

 

그래서 사랑은 IT제품과도 같다.

새로운 제품이 나오면 이전 제품들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관심 밖으로 멀어나게 된다.

물론 새로운 제품도 시간이 지나면 더 새로운 제품들에게 자리를 양보해야한다.   

인간이 느끼는 사랑의 심리도 간단하게 말하면 이렇다.

고질적인 불만족은 새로운 사랑에 늘 목마르다. 

 

고령임에도 매년 한편 이상 영화를 제작하는 우디 알렌은 

이질감이 느껴지는 소재를 코믹하게 표현함으로써 

'사랑'에 관련한 인간 심리를 잘 드러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하비에르 바르뎀(Javier Bardem)은

남성미가 느껴지는 정력적인 연기를 보여주었다.

스칼렛 요한슨(Scarlett Johansson)은 우디 알렌 영화에 고정 출연하고 있으며

이번에도 도발적인 연기를 보였으나 이제 그런 캐릭터는 질린다.

페넬로페 크루즈(Penelope Cruz)는 개성적인 연기를 보여주었고

그의 보상으로 여러 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레베카 홀(Rebecca Hall)은 쟁쟁한 배우들 앞에서 

전혀 밀리지 않은 연기를 보였고,

개인적으로는 신선함을 느꼈다.  

 

끝으로 하비에르 바르뎀과 페넬로페 크루즈는 스페인 출생으로

극중 의미있는 스페인어 대화를 보였고,

스칼렛 요한슨의 귀여운 중국어를 들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