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사주
강성봉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9월
평점 :
중요한 건 어떤 그릇을 가졌느냐가 아니야. 그 그릇이 완전히 깨졌느냐지. 인간은 제 그릇에 금이 가면 뭔 수를 부려서든 그걸 붙이고 살려 하거든. 다신 붙이지 못하게 완전히 박살을 내야, 그래야 새로 지을 수도 있는 건데 말이야! (p.199)
사이비 종교단체 벽돌집을 도망쳐나온
유림과 해수.
세뇌당한 유림이 진실을 마주하게 된 건 해수와 함께였기 때문이다.
탈출 후 기나긴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기나긴 대화가 사실은 애도였다는 것...
벽돌집에서 유림은 죽은 삶이나 마찬가지였다.
반대로 해수는 깨어있었다.
물론 종국에는 유림은 살았고 해수는 죽었지만.
죽었던 삶에서 살아난 유림은 해수도 살리고 싶었을테다.
그래서 계속 묻고, 묻다가, 끝내 깨닫는다.
죽은 사람을. 살아 돌아오게. 할 수 있어?(p.209)
유림이 알고 싶었던 단 한가지. 굴댕이가 스스로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던 바로 그것. 죽은 사람은 되살아날 수 없다는 것을. 마침내 유림은 입을 열었다.
해수야, 죽은 사람은 다-다시 살아, 살아, 살아, 돌아올 수 없어. (p.256)
책을 읽는 동안 사이비 종교를 포함한 컬트를 취재했던 책 <컬티시>가 떠올랐다. 언어학자 어맨다 몬텔은 언어라는 권력 도구를 바탕으로 추종자들에게 어마어마한 폭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한다.
소설 속 벽돌집 역시 마찬가지다. 선생님이 하는 말을 따르는 게 답이었으므로 아이들의 질문은 무의미했고, 묻는 말에 정해진 답만 하는 것이 도리였다. 세뇌된 아이들은 생각은 커녕 그렇구나, 하고 받아들이고 침묵한다.
해수가 기어코 왜 그렇게 묻질 않느냐는 질문에 유림은 흔들리고, 깨닫는다.
이야기해야 한다. 살아남기 위해서가 아니라, 살아 있지도 죽어 있지도 않은 것만은 피하기 위해서. (p.155)
운명을 깨고 나아가는 이야기.
성장이라는 말로 묘사하기에는 부족함이 크다.
삶의 여정에서 누구와 함께 하느냐,
그리고 무엇을 믿고 선택하느냐,
내 안의 목소리를 내기까지 시간이 걸렸지만,
끝내 해낼 수만 있다면.
그 치유의 여정을 함께 한 것 같다.
묵직하면서 울림이 큰 소설이다.
진실은 언제나 밝히기 어렵고 힘들다.
그러나 침묵하지 말고 이야기해야 한다.
살아있지도 죽어있지도 않은 상태를 피하기 위해서.
읽어보시기를.
파사주(破四柱)는 말 그대로 사주, 즉 주어진 운명을 깨뜨린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주를 볼 때 쓰는 용어이기도 하다. 궁합(宮合)이 남녀의 관계를 가늠하는 전통적인 개념이라면, 파사주는 남녀뿐 아니라 남자와 남자, 여자와 여자, 부모와 형제, 스승과 제자, 친구와 적까지 인간 대 인간의 모든 관계를 망라한다. 다시 말해, 나의 사주만으로 운명을 재단하는 것이 아니라, 나와 주변 사람들 사이의 관계로 그 운명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p.290-291, 작가의 말)
한겨레출판에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파사주 #한겨레출판 #강성봉 #하니포터 #하니포터11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