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디토리얼 라이팅 - 생각을 완성하는 글쓰기 ㅣ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111
이연대 지음 / 스리체어스 / 2025년 4월
평점 :
이제 정보는 값이 쌉니다. 비싼 것은 취향과 관점입니다. 바로 에디토리얼입니다. 에디토리얼 라이팅은 작가의 고유한 취향과 관점으로 정보를 선별하고 재배치해 새로운 가치를 제안하는 일입니다. (p.12)
내가 애정하는 북저널리즘,
유료 구독하는 콘텐츠다.
뉴스에도 맥락이 있고, 그걸 설명해준다.
북저널리즘 이연대 대표님이
책을 쓴다면 어떨까,
이 책이 바로 그 책이다.
나만의 관점을 갖고 싶다면,
글을 잘 쓰고 싶다면,
이 책을 참고하면 어떨까.
그럼, 에디토리얼 라이팅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두 가지 역량이 필요합니다. 기획력과 문장력입니다. 정보가 무한한 시대에 기획력은 곧 편집력입니다. 편집력을 더 쉬운 말로 바꾸면 '순서 감각이 있다'입니다. 이 감각이 있는 사람은 글을 쓸 때 정보를 단순 나열하지 않고 맥락에 따라 재배치합니다. 단어와 문장과 문단이 있어야 할 곳에 있게 합니다. (p.13)
잘 쓴 보고서를 보면, 맥락에 따라 잘 읽힌다.
그렇지 않은 보고서는 뒤죽박죽 정보의 나열로
말하고자 하는 바가 전달되지 않는다.
남의 보고서를 보면 뻔히 보이는데,
내가 보고서를 쓸 때는 왜 그게 잘 안되는지.
그래서 글쓰기가 어렵다.
여전히 어렵고, 늘 연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나만의 관점을 가지려면 질문해야 합니다. 학습된 경험에서 나오는 유추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기본에서부터 추론하고 결론을 확인합니다. 변하지 않는 진실만 남을 때까지 상황을 계속 파고들어야 합니다. (p.45)
같은 정보를 보고도 어떤 의문을 품고
생각하고 찾아보느냐에 따라 관점의 깊이가 달라진다.
작년 대학원 수업에서 같은 주제를
미디어에 따라 다른 관점으로 설명하는
사례를 찾아본 적이 있다.
제목부터 조사 하나까지,
기자가 어떤 관점에서 전달하느냐에 따라
무의식중에 남는 이미지가 전혀 달랐다.
아무런 필터없이 받아들인다면
잘못된 관점이 쌓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의미에서 질문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 책은 엑기스 같은 책이다.
좋은 글쓰기에 대한 팁도 정리가 잘 되어 있고,
읽다 보면 나의 글쓰기 문제점도 깨닫게 된다.
맥락에 따라 문단을 잘 배치했었나 반성하고,
단문 쓰는 연습을 해야겠다는 다짐도 한다.
보고서 뿐 아니라 글이 곧 생각이므로,
어쩌면 평생 연습해야 할 일이 아닌가 싶다.
아직도 갈 길이 멀지만,
그래서 글쓰기 책만 보면 늘 읽고 싶어지나보다.
다음은 작가님에게 했던 질문과 답변
Q. 글쓰기를 할 때, AI를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챗gpt를 요즘은 기본으로 활용하는데, 막상 엣지있는 문장은 안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어떤 식의 활용으로 참고하면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A. 저도 이런저런 일을 시켜봤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엣지 있는 문장을 얻어내진 못했습니다. ^^ 저도 챗gpt를 많이 쓰는 편인데요, 아주 긴 글(예컨대 논문)을 요약시키는 등 흔한 말로 노가다성 작업을 시키는 편입니다. 지난 1월에 트럼프 대통령 취임사 관련해서 피처를 하나 쓴 적이 있는데요, 그때 연설문을 보자마자 American이란 말이 정말 많이 들어가 있는 게 느껴졌습니다. 확실히 아메리카 퍼스트 기조를 느낄 수 있었죠. 그래서 그 연설문을 gpt에 넣고, 아메리카란 말이 몇 번 사용됐는지 세어달라고 했습니다. 저는 이런 식으로 gpt를 제 글의 조수처럼 부리고 있습니다.
챗gpt의 문장이 내 마음을 움직였던 적은 없다. 정보 수집이나 정리를 잘 할 뿐. 막상 보고서에 쓸 때에도 주술이 잘 맞지 않거나 엣지있지 않아서 만족도가 낮았다. 아직은 사람이 해야할 에디토리얼 라이팅이 더 많지 않은가 싶다.
시간이 날 때가 아니라 시간을 내서 써야 합니다. 언제까지 글을 마치겠다는 결의와 압박이 없으면 야심 차게 시작한 원고가 수많은 미완성 초고 더미 속으로 사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p.83)
작가라는 호칭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라고 생각합니다. 쓰는 순간, 모두 작가인거죠. (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