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정신분석의 임상기법 - 하인즈 코헛의 자기치료 해설
김병훈 지음 / 하나의학사 / 2022년 12월
평점 :
현대 정신분석의 임상기법 서평~*
프로이드에 이은 정신분석 학자들은 많겠지만,
또 다른 학자, ‘하인즈 코헛의 자기치료 해설’의 부제를 달고 있다.
바라는 마음은,
상담 현장 뿐 아니라 상담가의 각자 가지고 있는 독특한 삶의 문제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뿌리 깊이 숨겨져 계속되는 혼동과 고통의 문제들이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개정판을 수정되었다고 밝힌다.
우리에게 있어
한국에는 정신분석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토대가 미흡 하다. 정신분석 교육의 입장에서 번역의 불일치로 인한 것이기도 하고, 혼돈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이 학교, 문화, 예술과 종교 정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로 지평을 넓혀 나갔다. 특히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은 이제 전 세계에서 괄목할만한 정신과학 조직으로 우뚝 서 있고 한국에도 소개되면서 상담 및 심리치료 전문가들의 많은 애정과 관심을 받고 있다고 한다.
상담대학원에서 미쳐 배우지 못한 것들을 다시 배우니 아주 좋다.
다소 어려운 감은 있으나 친절한 아내와 함께 적용하는 부분까지 이어지니 참 좋다.
하인즈 코헛의 자기대상(selfobject )에 대한 김병훈 박사의 번역 언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하인즈 코헛은, ‘행복 경험의 확장’을,
치료 본질이라고 했다.
그리고 아이가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에 올라가면서 엄마와 떨어져 지내야 하는데, 이때 아이의 마음속에 엄마가 심리구조로 잡고 있으면 아무 탈 없이 혼자 또는 다른 아이들과 더불어 잘 놀며 지낸다.
그러나 엄마가 아이의 심리구조로 아이의 내면 안에 자리를 잡고 있지 않으면 아이는 공황상태에 빠지게 된다.
엄마가 마음속에 없기 때문에 아이는 낯선 세상에서 몰려오는 불편 자극으로부터 스스로를 진정시킬 능력을 갖지 못한다.
결국 계속해서 엄마와 붙어 지내려는 열망이 아이에게 일어난다. 질병, 사고, 투정, 학교 부적응 등이 이 열망을 위한 보조 도구로 쓰이게 된다.
위탁으로 작년에 온 아이를 보던 중에 이 책은 도움을 준다.
아직 다 알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더 깊은 정신분석의 임상기법을 깨우치게 될 것이라 기대 된다.
#현대정신분석의임상기법 #김병훈 #하나의학사 #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