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미의 가족 상담소 - 모르면 오해하기 쉽고, 알면 사랑하기 쉽다
박상미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미누님의 특별한 가족 상담 이야기~*
[박상미의 가족 상담소] 읽고🌵 서평

‘가족 상담’을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가족 상담을 실재적으로 하고, 지금도 가족에 대한 관심이 많은 내게 좋은 교과서이자 사례집이었다.
아니 ‘내 가족은 행복한 가족이다’ 라는 생각을 해 왔던 내게 나를 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되어 주었다.
그리고 중년이 된 내게 가족들의 아픔과 불편함을 알게 해 주었다.
또한 며느리들과 사위를 맞이하려는 내게 바른 가르침을 선물 해 주었다.

어쩌면 나는 옛날의 가부장적인 제도에서 눈물을 흘리며 살았던 사람이었지만, 그렇게 살지 않으려고 애를 썼는데, 가족은 ‘힘들어했다.’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 새로운 가족의 모델을 안고 살아가려는 소중한 지침이 되어 주었다.

아내의 말이다.
“당신은, 우리 세대의 남편과 아빠들 보다는 잘하지만, 신세대의 남편과 아빠로서는 부족해요!”
받아보지 못한 인정과 칭찬에 목말라서
인정중독으로 참다가 욱하는 내게,
아내는 나를 인정해 주고, 칭찬해 주었다.
물론 요즘은 나보다 기가 세다.
그렇지만 밉지 않다.
왜냐하면 나이 들어가며 약해지는 몸을 보며 나 때문에 저러나 싶어 안쓰럽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더 행복하고 가족 모두가 평안하고 즐겁기를 바란다.
우리 며느리들과 사위와 손주들까지도 말이다.
상미누님~, 소중한 책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식은 내 인생의 성적표가 아닙니다.’
시작하자마자 마음에 태풍을 일으킵니다.
그래요, “자식은 내 인생의 성적표가 아닙니다.”
뜨끔뜨끔합니다.

‘미안하다’ 라고 쓰고, ‘사랑한다’ 라고 읽는다
‘고맙다’ 라고 읽고, ‘사랑한다’ 라고 이해한다.
부모의 “미안하다.”, “고맙다”라는 고백을 받아본 자녀들은 뜨거운 눈물을 흘렸습니다.
“제가 더 미안해요”,“저도 고마워요” “사랑해요” 라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었어요. 용기를 한 번 내보세요.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 돌보기는, 삼남매에 대한 지난날을 돌아보게 하였다.
자식을 사랑한다면, 치유하고 가실게요!
상처를 치유하지 않고 묵혀두면 썩은 우유가 되는 원리를 기억하시고요~~

#박상미의가족상담소 박상미 #특별한서재 #서평 #두번째도기다리세요 #상미누님_감사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