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꽝에서 독서광으로
김도인 지음 / 목양 / 2020년 7월
평점 :
독서‘꽝’에서 독서 ‘광’으로 💕 #김도인_저
몇 년 전에 설교 목사로 섬긴 적이 있다.
새로운 목회자를 기다리는 교회였다.
한 달간 설교로 섬기기로 하였다.
한 달이 지난 후에 다시 연장해서 섬겨주기로 했다.
그때 교회 리더들이 저에게 지난번에 계시던 목사님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다.
‘목사님이 토요일인데 설교를 준비하지 않고 텔레비전만 보고 있더라’는 것이다.
설마 그랬겠는가? 그렇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오버 랩이 되어서 아쉬운 마음을 금할 길 없었다.
🌳
기독교인이 되었다는 것은 독서가가 되었다는 뜻?
타락한 가톨릭에 반기를 든 마르틴 루터는,
‘아드 폰테스트’,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즉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무명의 루터를 통해 하나님은, 인쇄술의 발달을 일으키시면서 종교개혁을 이루게 하셨다.
그런데 요즘 기독교인들은 책을 읽지 않는다. 아이러니다. 시간이 없다고 하면서,
손에서 스마트폰을, 눈에서 텔레비전과 동영상을 떼지 못한다.
성씨를 바꾸어야 한다! 🌵
독서꽝씨에서 독서광씨로 말이다.
책을 읽지 않는 백성은 망한다고 했던가?
기독교인은,
하나님의 책인 성경을 읽고 기독교인이 되었고, 성장해 가야 한다.
그 말을 21세기에 적용한다면,
첫째, 그리스도인은 성경 읽기로 돌아가야 한다.
둘째, 책 읽기로 돌아가야 한다.
성경을 부지런히 읽어야 하고, 사람이 쓴 책들을 읽어야 한다. 고(故)하용조 목사님은, 하나님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이해 하기 위해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등의 인문학을 읽으라고 하셨다.
성경만 읽으면 편협하고 외골수가 되기 쉽다.
골고루 읽어야 원만한 인격이 되고, 사람을 이해하고 품을 수 있게 된다.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임계점을 돌파하라 🍄
3년에 일천 권을 읽어보라!
습관은 우리에게 임계점을 돌파하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365km와 366km의 차이는 1km의 차이가 아니다. 하늘에 있는가? 땅에 있는가의 차이다.
독서 모임을 하라! 🌲
교회 안에 독서 모임을 만들어야 한다. 일반인들은 독서 모임을 통해서 책을 읽고 나누고 소통하는 것이 팬데믹을 통해 늘어났는데 기독교인들은 그러지를 못하고 있다. 교회 안에 독서 모임을 많이 만드는 것이 좋다.
*~*독서,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 서는 것!
*~*부유 하기 원하는가, 책을 읽으라!
*~*대체 불가능한 사람, 차별화된 인생, 독서!
지성과 영성을 겸비한 기독교인이 되어라! 🌴
교회를 사랑하는 작가의 마음이 녹아 있다. 더이상 무식한 지도자가 아니라 현명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성경과 다른 책들을 부지런히 읽고 글을 쓰는 훈련이 필요하다.
#독서꽝에서독서광으로 김도인 저 #목양출판사
#기독교인이여독서가가되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