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쓰기! 나도 할 수 있다
김도인 지음 / 글과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당신이 책을 써야 할 때 📖 📙
개척교회를 섬길 때,
창원극동방송에 전도 편지 형식의 글이 매주 연재 방송됐었다. 그것을 모아 책을 출간했다. 몇 분이 [빛고을편지], 2천여 권을 만들었다. 수채화 같은 글을 담은 책이란 평이었다.
잊었던 기억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떠오르게 되었다.

책을 써야 한다.
100세 인생, 김형석 교수님은 그 연세에 지금도 일하신다. 책을 쓰시고, 강의하신다. 우리도 그럴 수 있다고 한다. 고마운 말이다. 나이 들어 몸으로 일을 할 수 없을 때, 책이 일하도록 한다.
책은 나보다 더 많은 일을 한다. 더 먼 곳까지 간다. 더 많은 사람을 만난다. 한권의 책은 어떤 이에게 꿈을 꾸게 하고, 행복한 인생으로 이끌어 가기도 한다.

책을 쓰는 것은, 📚 📖 📘
개인적인 브랜드를 갖는 것 그 이상을 넘어선다.
우리가 사랑하는, ‘기독교는 우리끼리만의 리그를 펼치고 있다. 세상이 알아주는 목회자 작가는 찾아볼 수 없다. 그 이유는, 책 쓰기를 하나님의 미션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라고 외치고 있다.

어떻게 할 것인가?,
‘기독교를 알리려면, .... 책을 통해서다.’, ‘책의 파급력이 엄청나므로, 목회자가 전국적인 작가가 되어 탁월한 복음의 도구가 되어야 한다.’

책을 쓰기 위해서는 📖 📘 📙 📗
먼저 독서, 책책책, 정독이든 다독이든 상관없다. 일단 읽어야 한다. 읽어야 쓸 수 있다. 읽지 않는 사람은 책을 쓸 자격이 없다. 적어도 천 권은 읽어라.
김병완님은
3년 만에 1만 권의 책을 읽었다고 하지 않는가?
나의 40대 후반에, 그의 책을 다 읽었다. 그중 [40대, 다시 도전에 미쳐라], [40대, 다시 공부에 미쳐라] 라를 읽고 가슴이 얼마나 뛰었는지 모른다. 그 책을 읽고 다른 일을 시작하였었다. 이처럼 읽어야 쓸 수 있고, 읽으면 쓰고 싶어진다. 삶으로 이어지게 한다. 성경을 통해 이미 우리가 변화된 삶을 살고 있지 않은가? 우리가 산 증인이지않는가!

책을 쓰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글쓰기다. 글쓰기를 배워야 한다.
삼다(三多)라는 말이 있다. 천 년 전 송나라 문인 구양수가 제시한 多讀(다독), 多作(다작), 多商量(다상량)은 ‘삼다’에 대한 설명인데,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해 보는 것’을 뜻한다.

예전에 나는, ‘내가 만약 책을 쓴다면, 복음을 담은 전도 편지 형식의 책’을 쓰려고 하였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이미 내 안에 있는 그리스도의 마음이, 세상을 살아가는 이야기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기독교인만이 읽고 📚 📖 📘
세상으로 나가지 못하는, 우리만의 리그로 끝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기독교인이라는 벽을 넘어야 한다. 내가 떠난 뒤에도 신.불신자 상관없이 후대가 읽고, 삶으로 살아내고자 하는, 마음을 움직이는, 동기가 있는 책 쓰기를 해야겠다.

하나님의 미션, 그리고 가장 가치 있는 도전이 책 쓰기다.

책 출간을 위해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어 도움이 된다.
작가가 직접 제안하고 출간을 한 것을 설명해 두었다. 지난번의 [글쓰기특강]에서 밝힌 것처럼, 좋은 책 베껴 쓰기를 잘하는 것도 지혜다. 그런 면에서 김도인 작가는 친절한 안내자이며 동반자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
좋은 습관이 몸에 밴 이들처럼 계속 일기를 쓰는 것,
일기를 SNS에 올리고 있다. 책을 읽고 서평을 올린다. 어느 것이든 하루에 한 편씩만 올리려고 한다. 페친들에게 성실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함이고, 내 습관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스로 하루 한 권의 책을 읽고 서평하기 위함이다.

그러기 위해서, ‘1%의 독서가가 돼라’ 라는 작가의 권면을 지금은 듣고 싶다. 천 권의 책을 읽는 1%의 삶이 되고 싶다.
🪔
마지막 나가면서 외쳐본다.
‘쓰는 이의 고통이 읽는 이의 행복이 될 때까지’
#김도인 #책쓰기나도할수있다 #글과길_출판사 #김영한목사님_선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